진행중

"남해 금산 봉수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맥요소)
40번째 줄: 40번째 줄: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
| 남해_금산_봉수대 || Object || 남해_금산_봉수대(南海_錦山_烽燧臺) ||  
+
| 남해_금산_봉수대 || Object || 남해_금산_봉수대 ||  
 
|-
 
|-
| 봉수대 || Concept|| 봉수대(烽燧臺) ||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
+
| 봉수대 || Concept|| 봉수대 ||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
 
|-
 
|-
 
| J38-0087-0000 || Heritage || (경상남도_기념물_제87호)남해_금산_봉수대 || 경상남도 기념물 제87호로 지정되어 있다.
 
| J38-0087-0000 || Heritage || (경상남도_기념물_제87호)남해_금산_봉수대 || 경상남도 기념물 제87호로 지정되어 있다.
55번째 줄: 55번째 줄:
 
| 남해_금산_봉수대 || J38-0087-0000 || isDesignatedAs
 
| 남해_금산_봉수대 || J38-0087-0000 || isDesignatedAs
 
|}
 
|}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1년 4월 23일 (금) 12:04 판


남해금산봉수대
남해 금산 봉수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해금산봉수대
한자 南海錦山烽燧臺
주소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257-3번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87호
지정일 1987년 5월 19일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통신/봉수
관리자 남해군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남해 금산 봉수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봉수(烽燧)는 높은 산에 올라가서 밤에는 횃불[烽]로, 낮에는 연기[燧]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시대의 통신 제도이다. 이 제도는 처음에 외적의 침입을 알리는 군사적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록상 고려 중기(12,3세기)에 이 제도가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실시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봉수제가 체계적으로 정비된 때는 왜구의 침입이 극심했던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 이후였다. 봉수대는 각각 일정한 거리를 둔 산꼭대기 중에서 시야가 확 트인 곳에 설치하였다. 그리하여 평시에는 불꽃이나 연기를 한번 올리지만[一炬 또는 一煙], 적이 바다에 나타나면 두 번, 적이 해안에 근접해 오면 세 번, 바다에서 접전이 이루어지면 네 번, 육지에 상륙했을 경우에는 다섯 번의 불꽃이나 연기를 피워 올렸다. 이곳 금산 봉수대는 고려 의종(毅宗, 1147~1170 재위) 때 설치되어,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이 봉수대는 조선시대 다섯 곳의 중심 봉수로(烽燧路) 가운데서 동래(東萊)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제 2봉수로에 속한 최남단의 봉수이다. 이곳에서 점화된 봉수는 창선 대방산을 통해 사천(四川), 진주(晉州) 등을 거쳐 서울에 전달되었다.

수정 국문

초고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으로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

『세종실록지리지』 에 의하면 곤남군에는 봉화가 세 곳 있는데, 금산봉화는 남해도 동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본도(本道) 소흘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남해 금산 봉수대는 수량 1기로 높이 4.5m, 둘레 26m이며 남해군 금산 봉우리에 설치되었다. 이 봉수대는 남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한 것으로 정세를 중앙으로 전달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남해 금산에서 첫 봉화를 피운 간봉은 진주 대방산→각산→사천 안현산 등을 거쳐 충주의 망이산 직봉으로 연결되었다. 이처럼 금산봉수는 처음 봉화를 피우는 경상도 남해안의 중요한 봉수의 하나였다. 설치 연대는 고려 중엽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비교적 본래의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다.

1차 수정

문맥요소

ID Class Label Description
남해_금산_봉수대 Object 남해_금산_봉수대
봉수대 Concept 봉수대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
J38-0087-0000 Heritage (경상남도_기념물_제87호)남해_금산_봉수대 경상남도 기념물 제87호로 지정되어 있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남해_금산_봉수대 봉수대 type
남해_금산_봉수대 J38-0087-0000 isDesignatedAs

참고자료

  • 남해 금산 봉수대[南海 錦山 烽燧臺],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5549&cid=40942&categoryId=33382

  • 남해금산봉수대[南海錦山烽燧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2275

  • 남해금산봉수대 (南海錦山烽燧臺),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08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