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공주향교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21일 (월) 11:37 판 (문맥요소)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주향교
공주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공주향교
한자 公州鄕校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211번지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
지정일 1978년 3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공주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조선시대에 성현과 유학자[孔子와 四聖, 孔門10哲, 宋朝6賢, 우리나라 18賢]의 위패를 모시고 석전대제(釋奠大祭)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 태조 7년(1374) 웅진동 송산 기슭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광해군 14년(1622) 화재로 인하여 인조 1년(1623)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건물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무‧서무, 유생들이 학업을 연마하던 명륜당,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사가 있다.

앞쪽에 교육공간을 뒤쪽에 제사공간을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교육기능이 쇠퇴하여 전통향사만 존속하고 있다.

현재 공주향교에서는 효제충신, 인성, 서예, 전통의 맥을 잇고자 명륜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공주향교는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로 창건연대는 1301년(고려 충렬왕 27)으로 추정된다. 한편 조선 초기의 공주향교는 현재의 교동이 아닌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다. 그 이후 1622년(광해군 14)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1623년(인조 1년)에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향교의 중수가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이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 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제사(釋奠祭祀)를 받들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올리고 있다.

공주향교에는 많은 전적과 고문서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족의 명단인 《향안(鄕案)》, 유생들의 명단인 《청금록(靑衿錄)》·《유생안(儒生案)》, 교관들의 명단인 《선생안(先生案)》, 향교 소유의 전답 기록인 《전답안(田畓案)》, 향교 소유의 노비 기록인 《노비안(奴婢案)》 등이 있고, 이외에 각종 고문서가 있다.

또한 이곳에는 향교와 관련된 많은 현판이 걸려 있는데, 향교의 중수기록으로 현재 명륜당에 걸려 있는 것은 중수기(重修記) 2매,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 4매가 주목된다. 한편 1859년 공주 지역의 지리지인 《공산지(公山誌)》의 교정 작업을 완료한 뒤에 그것을 기념하는 인명록이 향교에 현판으로 걸려 있다.

공주향교를 통해 당시 공주가 충청도 일대에서 행정과 교육의 중심 도시였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문서류를 통해 향교의 운영 실태와 관리 및 당시 지역민들과의 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다.

1차 수정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공주향교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이다.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광해군 14년(1622)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인조 1년(1623)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공주향교에 소장된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족의 명단인 『향안(鄕案)』, 유생들의 명단인 『청금록(靑衿錄)』·『유생안(儒生案)』, 교관들의 명단인 『선생안(先生案)』, 향교 소유의 전답 기록인 『전답안(田畓案)』, 향교 소유의 노비 기록인 『노비안(奴婢案)』 등이 있고, 이외에 각종 고문서가 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 경전 역사 문장 시 순으로 배치하는 것이 위계상 적절
    • 단락 구분 ->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
    • 문장 내 쉼표 위치(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로 인해 위패 보관장소가 대성전으로 한정되어짐. --> 대성전과 동무 ∙ 서무 로 교체
  2. 분야별 자문위원 2
    • 공주향교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이다. 철종 10년(1859)에 발간한 공산지(公山誌)에 따르면,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광해군 14년(1622)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인조 1년(1623)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졌다.
      공주향교의 공간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대성전과 동·서 양무가 있는 제향 공간, 두 번째가 명륜당을 위시한 동재와 존경각이 있는 강학 공간이며, 세 번째는 향교를 관리를 위한 별도 관리자 공간이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향교 창건 시점에 대한 이견 제시 -> 공주향교는 태조 7년(1374)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려 충렬왕 27년(1301)대에 자사(刺史) 민상백(閔祥伯)이 지방학교를 수리하였다는 사료가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다.)

2차 수정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공주향교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이다.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광해군 14년(1622)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인조 1년(1623)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廡)·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공주향교에 소장된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족의 명단인 『향안(鄕案)』, 유생들의 명단인 『청금록(靑衿錄)』·『유생안(儒生案)』, 교관들의 명단인 『선생안(先生案)』, 향교 소유의 전답 기록인 『전답안(田畓案)』, 향교 소유의 노비 기록인 『노비안(奴婢案)』 등이 있고, 이외에 각종 고문서가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공주향교 Place 공주향교(公州鄕校)
신감 Actor 신감(申鑑_1570-1630)
송흥주 Actor 송흥주(宋興周_1581-1652)
공주향교_명륜당 Object 공주향교_명륜당
공주향교_존경각 Object 공주향교_존경각
공주향교_대성전 Object 공주향교_대성전
H34-0075-0000 Heritage (충청남도_유형문화재_제75호)_공주향교
오강표_순절지 Place 오강표_순절지 1910년 공주 출신 유학자 오강표가 일제의 국권강탈에 분개해 자결한 장소라고 함(향교 앞에 표지판 있음)
오강표 Actor 오강표(1843-1910)
경술국치 Event 경술국치(1910)
공주시_웅진동_송산리 Place 공주시_웅진동_송산리 원래 있던 자리.
원재명 Actor 원재명(元在明) 1813년 향교 전체 중수. 당시 관찰사.
서흥보 Actor 서흥보(徐興輔) 1751년 명륜당 보수. 당시 판관.
한배하 Actor 한배하(韓配夏) 1710년 명륜당 중수. 당시 관찰사.
이석규 Actor 이석규(李錫奎) 1822년 대성전 중수. 당시 관찰사
조기영 Actor 조기영(趙冀永) 1839년 대성전 중수. 당시 관찰사
민치상 Actor 민치상(閔致庠) 1870년 명륜당 중수. 당시 관찰사.
조명교 Actor 조명교(趙明敎) 1873년 대성전 중수. 당시 판관.
오성십철 Concept 오성십철(五聖十哲) 문묘에 봉행하는 유교 선현. 오성은 공자,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십철은 공자의 제자 중 뛰어나다고 손꼽히는 10명. 안회, 민자건, 염백우, 중궁, 재아, 자공, 염유, 자로, 자유, 자하
송조육현 Concept 송조육현(宋朝六賢) 중국 송나라 때 6인의 유학자.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소옹(邵雍), 장재(張載), 주희(朱熹)
공주향교_동무 Object 공주향교_동무
공주향교_서무 Object 공주향교_서무
동국_18현 Concept 동국_18현(東國_十八賢) 우리나라의 유교 선현 18인. 설총, 최치원, 안유,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공주향교 H34-0075-0000 isDesignatedAs
공주향교 신감 isRelatedTo
공주향교 송흥주 isRelatedTo
공주향교 공주향교_명륜당 hasPart
공주향교 공주향교_존경각 hasPart
공주향교 공주향교_대성전 hasPart
오성십철 공주향교_대성전 isEnshrinedIn
송조육현 공주향교_대성전 isEnshrinedIn
공주향교 오강표_순절지 isRelatedTo
오강표 경술국치 isRelatedTo
공주향교 공주시_웅진동_송산리 formerLocation
공주향교 원재명 renovator
공주향교_대성전 이석규 renovator
공주향교_대성전 조기영 renovator
공주향교_대성전 조명교 renovator
공주향교_명륜당 한배하 renovator
공주향교_명륜당 서흥보 renovator
공주향교_명륜당 민치상 renovator
동국_18현 공주향교_동무 isEnshrinedIn
동국_18현 공주향교_서무 isEnshrinedIn

참고자료

  • 《동문선(東文選)》 권65, 〈공주동정기(公州東亭記)〉, “…驪興閔祥伯刺是州, 年未期, 職修治成. 庶政有餘暇, 公乃分牒聯屬, 聚工徵役. 將使州治之舘舍‧庫廩‧庠塾‧寺院‧亭觀之猥陋弊亡者, 靡不革復之.…” : (…여흥(驪興) 민상백(閔祥伯)이 이 주에 자사(刺史)로 부임(1301년)하여 1년이 못 되어 사무가 정돈되고 행정이 잘 되었다. 일반 행정을 하는 여가에 공은 곧 소속 관료에게 문서를 나누어주고 인부를 모집하여 역사를 실시하였다. 읍내에 있는 관사‧창고‧학교(庠塾)‧사원‧정자 등이 누추하거나 못 쓰고 없어진 것을 모두 수리하고 복구하였다.…) -> 기존 안내문에는 공주향교의 창건 시기를 “태조 7년(1374) 웅진동 송산 기슭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문화재청, 민백 기사에는 창건연대 미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기록에 분명하게 나와 있다.
  • 조선 초기의 향교는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다. 이것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향교가 “주의 서북쪽 3리에 있고 서쪽에 옛 왕릉이 있다.(鄕校在州西北三里, 西有古陵墓)”라는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충청남도 문화재대관 2 도지정문화재Ⅰ》, 2009.
  • 공주향교(公州鄕校),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400750000
  • 공주향교(公州鄕校),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510
  • 공주향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701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