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공주향교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1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조선시대에 성현과 유학자[孔子와 四聖, 孔門10哲, 宋朝6賢, 우리나라 18賢]의 위패를 모시고 석전대제(釋奠大祭)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 태조 7년(1374) 웅진동 송산 기슭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광해군 14년(1622) 화재로 인하여 인조 1년(1623)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건물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무‧서무, 유생들이 학업을 연마하던 명륜당,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사가 있다.

앞쪽에 교육공간을 뒤쪽에 제사공간을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교육기능이 쇠퇴하여 전통향사만 존속하고 있다.

현재 공주향교에서는 효제충신, 인성, 서예, 전통의 맥을 잇고자 명륜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공주향교는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로 창건연대는 1301년(고려 충렬왕 27)으로 추정된다. 한편 조선 초기의 공주향교는 현재의 교동이 아닌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다. 그 이후 1622년(광해군 14)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1623년(인조 1년)에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향교의 중수가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이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 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제사(釋奠祭祀)를 받들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올리고 있다.

공주향교에는 많은 전적과 고문서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족의 명단인 《향안(鄕案)》, 유생들의 명단인 《청금록(靑衿錄)》·《유생안(儒生案)》, 교관들의 명단인 《선생안(先生案)》, 향교 소유의 전답 기록인 《전답안(田畓案)》, 향교 소유의 노비 기록인 《노비안(奴婢案)》 등이 있고, 이외에 각종 고문서가 있다.

또한 이곳에는 향교와 관련된 많은 현판이 걸려 있는데, 향교의 중수기록으로 현재 명륜당에 걸려 있는 것은 중수기(重修記) 2매,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 4매가 주목된다. 한편 1859년 공주 지역의 지리지인 《공산지(公山誌)》의 교정 작업을 완료한 뒤에 그것을 기념하는 인명록이 향교에 현판으로 걸려 있다.

공주향교를 통해 당시 공주가 충청도 일대에서 행정과 교육의 중심 도시였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문서류를 통해 향교의 운영 실태와 관리 및 당시 지역민들과의 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다.

1차 수정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공주향교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이다.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광해군 14년(1622)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인조 1년(1623)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공주향교에 소장된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족의 명단인 『향안(鄕案)』, 유생들의 명단인 『청금록(靑衿錄)』·『유생안(儒生案)』, 교관들의 명단인 『선생안(先生案)』, 향교 소유의 전답 기록인 『전답안(田畓案)』, 향교 소유의 노비 기록인 『노비안(奴婢案)』 등이 있고, 이외에 각종 고문서가 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 경전 역사 문장 시 순으로 배치하는 것이 위계상 적절
    • 단락 구분 ->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
    • 문장 내 쉼표 위치(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로 인해 위패 보관장소가 대성전으로 한정되어짐. --> 대성전과 동무 ∙ 서무 로 교체
  2. 분야별 자문위원 2
    • 공주향교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이다. 철종 10년(1859)에 발간한 공산지(公山誌)에 따르면,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광해군 14년(1622)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인조 1년(1623)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졌다.
      공주향교의 공간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대성전과 동·서 양무가 있는 제향 공간, 두 번째가 명륜당을 위시한 동재와 존경각이 있는 강학 공간이며, 세 번째는 향교를 관리를 위한 별도 관리자 공간이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향교 창건 시점에 대한 이견 제시 -> 공주향교는 태조 7년(1374)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려 충렬왕 27년(1301)대에 자사(刺史) 민상백(閔祥伯)이 지방학교를 수리하였다는 사료가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다.)

2차 수정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공주향교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창건된 향교이다.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광해군 14년(1622)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인조 1년(1623) 순찰사 신감(申鑑, 1570~1630)과 목사 송흥주(宋興周, 1581~1652)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홍살문, 외삼문과 유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던 명륜당(明倫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尊經閣),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祭器庫), 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실(庫直室), 내삼문, 성현들의 위패가 봉안된 사당인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廡)·서무(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공주향교에 소장된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족의 명단인 『향안(鄕案)』, 유생들의 명단인 『청금록(靑衿錄)』·『유생안(儒生案)』, 교관들의 명단인 『선생안(先生案)』, 향교 소유의 전답 기록인 『전답안(田畓案)』, 향교 소유의 노비 기록인 『노비안(奴婢案)』 등이 있고, 이외에 각종 고문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