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흥 능가사 대웅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7월 10일 (수) 10:2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흥능가사대웅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613070000 고흥 능가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흥 능가사 대웅전
Daeungjeon Hall of Neunggasa Temple, Goheung
고흥 능가사 대웅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고흥 능가사 대웅전
영문명칭 Daeungjeon Hall of Neunggasa Temple, Goheung
한자 高興 楞伽寺 大雄殿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팔봉길 21 (성기리)
국가유산 종목 보물
지정(등록)일 2001년 2월 2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시대 조선 후기
수량/면적 1동, 58.58평
웹사이트 고흥 능가사 대웅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고흥 능가사 대웅전은 능가사사적비 및 건물에 사용된 기와에 새겨진 글 등으로 볼 때 18세기 중엽에 중건된 앞면 5칸, 옆면 3칸, 팔작지붕 건물이다.

능가사 대웅전 건물에 짜인 공포*는 다포계의 일반적인 수법을 따랐다. 반면 정면 기둥머리의 안초공** 수법과 건물 내·외부에 연꽃 봉오리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기법은 영광 불갑사 대웅전(보물), 부안 개암사 대웅전(보물)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포벽 수장재에 도드라지게 새긴 첨차***는 사찰 건물에서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능가사 대웅전은 이처럼 임진왜란 이후 조선 중·후기 전남 남해안 지역 사찰 건축의 일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물로 역사적 의의와 함께 건축적 가치가 크다.


  • 공포(栱包): 우리나라와 중국·일본 등지의 전통목조건축에서 처마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부재
  • 안초공(按草栱): 기둥 상부의 공포를 받는 부재
  • 첨차(檐遮): 십자 맞춤으로 되는 짤막한 공포재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