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금강사 법화영험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29일 (화) 16:2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김해 금강사 법화영험전 |영문명칭= |한자=金海 金剛寺 法華靈驗傳 |주소=경상남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금강사 법화영험전
대표명칭 김해 금강사 법화영험전
한자 金海 金剛寺 法華靈驗傳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405번길 73-33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45호
지정일 2018년 6월 21일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수량/면적 1책
웹사이트 김해 금강사 법화영험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은 고려 후기 승려 요원(了圓)이 『법화경』의 영험담을 모아 엮은 불교서적이다. 이 책은 중국 당나라 혜상(慧詳)의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 10권, 송나라 종효(宗曉)의 『현응록(玄應錄)』 4권, 고려 진정국사(眞靜國師) 『해동전홍록(海東傳弘錄)』 4권 및 그 밖의 문헌들에서 기이하다고 생각되는 107개의 영험설화가 실려 있다.

금강사 『법화영험전』은 고려 묘혜대사(妙慧大師)의 지원으로 판각하여 만의사(萬義寺)에 안치하였던 고려본을 판하본(板下本)*으로 하였다. 1534년(중종 29)에 전라도 고창 문수사(文殊寺)에서 다시 새긴 것을 찍어낸 것으로 임진왜란 이전의 불교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판하본板下本 : 목판 불경을 만들기 전에 종이에 먹으로 쓴 불경. 목판본의 원본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