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포항 원법사 소장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0월 17일 (월) 15:5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포항 원법사 소장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 |영문명칭= |한자=浦項 元法寺 所藏 舍利...)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포항 원법사 소장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
대표명칭 포항 원법사 소장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
한자 浦項 元法寺 所藏 舍利弗阿毘曇論 卷第三十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지정일 2022년 09월 05일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첩



해설문

국문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舍利弗阿毘曇論 卷第三十)』은 총 24장으로 이루어진 목판본으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재조대장경을 조선 전기에 인출하여 절첩본으로 장정한 것이다. 『사리불아비담론』은 중국 후진(後秦)의 담마야사(曇摩耶舍)와 담마굴다(曇摩掘多) 등이 장안에서 407년(弘始 9)부터 415년(弘始 17)까지 한역한 책으로, 소승에서 말한 모든 법의 명의(名義)를 해석한 책이다. 국내에 잔존하고 있는 재조대장경의 인본들은 인출 시기가 조선 말기에서 일제강점기 시기에 인출한 것과 1960년대에 인출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고려시대 및 15세기에 인출된 것들은 대부분 일본에 잔존하고 있어 국내 잔존 재조대장경은 고려시대 및 조선 전기 판본의 수량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책은 지질의 과학적 비파괴법에 의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박엽지로 확인이 되며, 보존 상태가 양호한 15세기 인출본으로 추정되고, 서지학 및 불교학뿐만 아니라 한국 인쇄출판문화사의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영문

  • Sariputra Abhidharma Sastra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