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향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9월 29일 (목) 15:4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주향교
Mu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무주향교, 디지털무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무주향교
영문명칭 Mu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茂朱鄕校
주소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단천로 135 (읍내리 264-6)



해설문

국문

무주향교는 선성(先聖)과 선현(先賢)의 뜻을 기리고 인재를 양성하는 지방 교육 기관 역할을 하던 곳으로 조선 태조 때 건립되었다. 원래 무주군청 북쪽에 있었으나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 조선 숙종 18년(1692)에 향로산 서쪽으로 옮겼다. 그러나 그곳의 터가 습하여 제기가 썩고 풍수학적으로 좋지 않아 순조 34년(1834)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건물이다. 공자를 비롯한 오성(五聖)과 중국의 사현(四賢), 그리고 우리나라 유학자 십팔현(十八賢) 의 위패를 모시고 매년 봄과 가을에 석전대제를 봉향하며,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는 향을 피우는 분향례를 지낸다. 향교 경내에는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과 양사재, 동재, 서재 등이 있다. 

배치도

  1. 하마비: 향교 앞을 지날 때는 신분의 높고 낮음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비석이다.
  2. 외삼문: 향교 정문에 있는 세 개의 문이다. 가운데 문은 분향례와 석전대제를 지낼 때만 열어 놓는다. 문을 오고 갈 때는 해가 뜨고 지는 원리를 따라 들어갈 때는 오른쪽 문, 나올 때는 왼쪽 문을 이용한다. 안에 있는 삼문은 내삼문이라 한다.
  3. 명륜당: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던 강당이다.
  4. 동재와 서재: 동쪽과 서쪽에 있는 기숙사이다.
  5. 동무와 서무: 원래는 여러 성현의 위패를 모시던 건물이었으나 1985년 향교 유림의 뜻에 따라 위패를 대성전으로 옮겼다. 현재는 석전대제용 제복과 제기용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6. 대성전: 공자를 비롯한 오성(五聖)과 중국의 사현(四賢), 그리고 우리나라 유학자 십팔현(十八賢)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7. 양사재: 유생들이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해 모여서 공부하던 곳이다.
  8. 고직사: 향교 관리인이 지내는 곳이다.

영문

Mu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Such schools were established in jurisdictions across the country to serve as a local shrine for Confuciu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local elites. Students learned about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Mu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first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r. 1392-1398) to the north of the present-day Muju-gun Office. In 1692, the school was moved to the west of Hyangnosan Mountain due to the threat posed by tigers in the area. However, this new location was found to be too humid and improper according to the Korean feng shui principles, so the school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834.

From front to back,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lecture hall named Myeongnyundang (Hall of Illuminated Human Relations), two dormitories, an inner gate, two auxiliary shrines, and a main shrine named Daeseongjeon (Hall of the Great Sage). Located to the left of the shrine area is a study hall and a custodian’s residence. The main shrine holds the spirit tablets of Chinese and Korean Confucian sages. At the shrine, veneration rituals are held each spring and autumn and incense-burning rituals are held on the first day of each lunar month.

School Layout

  1. Horse Dismounting Post
  2. Main Gate and Inner Gate
  3. Myeongnyundang Lecture Hall
  4. Dormitories (East and West)
  5. Auxiliary Shrines (East and West)
  6. Daeseongjeon Shrine
  7. Study Hall
  8. Custodian’s Residence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무주향교는 조선 태조(재위 1392-1398) 때 지금의 무주군청 북쪽 지역에 처음 세워졌다. 향교에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 1692년에 향로산 서쪽으로 옮겼다가, 옮겨간 곳이 습하고 풍수학적으로 좋지 않아 1834년에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겼다.

향교 경내에는 앞쪽에서부터 강당인 명륜당, 동재와 서재, 내삼문, 동무와 서무, 사당인 대성전이 있다. 제향공간의 왼쪽에는 유생들이 공부하던 양사재와 고직사가 있다. 대성전에는 중국과 한국의 유교 성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이곳에서 매년 봄과 가을에는 석전대제를 지내며,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는 향을 피우는 분향례를 지낸다.

배치도

  1. 하마비
  2. 삼문
  3. 명륜당
  4. 동재와 서재
  5. 동무와 서무
  6. 대성전
  7. 양사재
  8. 고직사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