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9월 11일 (일) 20:1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문정공조광조묘및신도비_묘.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101690000 문정...)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한자 文正公 趙光祖 墓 및 神道碑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산 55-1
지정번호 경기도 기념물 제169호
지정일 1999년 10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광조는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으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김종직의 제자 김굉필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중종 5년(1515) 사마시에 합격하면서 관직에 나아갔다.

그는 사림파를 이끌며 ‘유교로서 정치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지치주의(至治主義)와 ‘어진 왕이 현명한 신하와 함께 선정을 베풀어야 한다’는 왕도정치(王道政治)의 실현을 강조하였다. 또한 향촌을 유교 이념으로 교화하기 위해 ‘상호부조’를 내세운 ‘여씨향약’을 팔도에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밖에 도교적인 국가 제사를 주관하는 소격서 폐지 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정책을 펴는 동시에 사림파를 이끌면서 훈구 대신들의 부패를 질타하고, 잘못된 제도를 혁파하여 새로운 질서를 수립하고자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다. 특히 위훈삭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대 세력인 훈구파의 강한 반발과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결국 전라도 능주(현재 화순군 능주면)로 유배된 후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훗날 선조는 조광조의 명예를 회복하여 주고 영의정에 추증하였다. 시호는 ‘문정’이며, 문집으로 『정암집』을 남겼다.

묘역은 선조 때 조성되어 현재까지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묘는 그의 부인 한산 이씨와의 합장묘이다. 묘역 내에는 대리석 묘표, 혼유석, 상석이 각 1개씩 있고 문인석과 망주석이 각각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선조 18년(1585)에 세웠으며, 노수신이 비문을 짓고 이산해가 글씨를 썼으며, 김응남이 전액을 쓰는 등 당대의 문장가와 명필이 참여하여 금석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 위훈삭제: 중종이 반정으로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의 자리에 앉도록 도운 공신 중 실제로 공을 세우지 않은 신하들은 공신록에서 삭제하고 상으로 내주었던 토지 등을 몰수하도록 한 것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갤러리

참고자료

  •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경기도 문화재 총람 도지정편 2』, 경기도,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238~239쪽.[[분류:]]

[[분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