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대(부산진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3월 14일 (월) 10:34 판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영가대.png |사진출처= |대표명칭=영가대 |한자=永嘉臺 |영문명칭= |종합안내판=부산진성 |위도= |경도= }} =='''해설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가대 永嘉臺
영가대.png
Goto.png 종합안내판: 부산진성



해설문

국문

1614년(광해군 6) 경상도 순찰사 권반이 부산진성의 전선을 감추기 위해 해자를 파서 호에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퍼 올린 흙이 쌓여 작은 언덕이 생겼는데, 이곳에 망루를 겸해 누각을 세웠다. 1617년(광해군 9) 임진왜란과 장유재란 당시 잡혀간 조선인을 데려오기 위해 일본으로 파견된 회답 겸 쇄환사 오윤겸이 이곳에서 용왕에게 안전 항해와 무사 귀환을 비는 ‘해신제(海神祭)’를 올린 후 일본으로 출발하였다. 이를 계기로 그후 일본에 파견되었던 통신사행의 바닷길은 이곳에서 해신제를 지내고 출발하게 되었다. 이 건물의 세워질 당시 이름은 알 수 없으나 1624년(인조 2) 일본 사절을 접대하기 위해 파견 온 선위사 이민구가 권반의 고향인 안동의 옛 이름(영가)을 따서 ‘영가대(永嘉臺)’라 하여 그 이름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영가대의 원래 위치는 지금의 동구 범일동 성남초등학교 서쪽 경부선 철로변이었다. 그러나 부산진-동래온천 간 전차선로 부설과정에서 헐리게 되자 1917년 일본인 실업가 오이케 타다스케〔大池忠助〕가 매입하여 그의 별장 능풍장(陵風莊)으로 옮겨 졌다가, 1966년 도시화 과정에서 철거되었다고 한다.

영가대의 규모나 구조와 관련하여『부진제영(釜鎭題詠)』의 「영가대기(永嘉臺記)」에서는 8칸 규모의 작은 누각이라 하였으나, 조선후기 각종 그림자료에서는 정면 6칸, 측면 1칸 등 규모나 벽체 구조가 서로 다르게 그려져 있다. 2003년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로 자성대공원 남쪽에 복원되었으나, 일제강점기 사진에 의하면 정면 3칸, 측면 4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으로 벽체가 있는 건물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