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산청 이택당 물산영당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30일 (월) 09:07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산청 이택당 물산영당
산청 이택당 물산영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산청 이택당 물산영당
한자 山淸 麗澤堂 勿山影堂
주소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평지리 산57-1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호
지정일 1983년 7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산청 이택당 물산영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청 이택당 물산영당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성재 허전(性齋 許傳, 1797~1886)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1916년에 지은 건물이다.

허전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인 이익(李瀷, 1681~1763)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기호지방*의 남인학자로 당대 유림의 종장(宗匠)이었다. 헌종 1년(1835)에 과거에 급제하여 임금의 학문적 수양을 위해 열리는 경연에서 임금에게 유학을 해설하였고, 고위 관리가 되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민란의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그가 남긴 저술로는 이상적인 국왕의 모습에 대해 논한 『종요록(宗堯綠)』과 『철명편(哲命編)』, 선비의 예법에 대해 논한 『사의(士儀)』 등이 있다.

허전 초상(보물 제1728호)은 그의 생전에 임금의 명령에 따라 그려졌다고 한다. 원래 허전의 본가인 경기도 안산 불권당에 보관하다가 1916년에 물산영당을 짓고 산청으로 옮겨 모셨는데, 2008년에 경기도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 기호지방(畿湖地方): 서울과 그 주변인 경기도와 충청도 일대를 일컫는 말

영문

Mulsanyeongdang Shrine of Itaegdang Hall, Sancheong

Mulsanyeongdang Shrine was built in 1916 for enshrining the portrait of Heo Jeon (1797-1886), a scholar and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Heo Jeon was a leading figure for Confucian scholars in the areas of Seoul, Gyeonggi-do Province, and Chungcheong-do Province who had succeeded the academic lineage of Yi Ik (1681-1763), a representative silhak scholar of the late Joseon period.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835, wrote (?) royal lectures in Confucianism for the king, and after becoming an influential civil official, he proposed a solution for the rebellions which had broken out nationwide. Several of his writings discussed examples of the ideal royals and the manners of the literati.

Designated as a treasure, the portrait of Heo Jeon is said to have been painted before his death following an order of the king. Initially, it was housed at Heo Jeon's most senior line (?) in Ansan, Gyeonggi-do Province, but when Mulsanyeongdang Shrine was built in 1916, it was moved to and enshrined in Sancheong, and in 2008, it was donated to the Gyeonggi Museum.

영문 해설 내용

물산영당은 조선시대의 학자이자 문신인 허전(1797-1886)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1916년에 지었다.

허전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인 이익(1681-1763)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서울, 경기도, 충청도 일대의 유림을 이끄는 인물이었다. 1835년 과거에 급제하여 경연에서 임금에게 유학을 해설하였고, 고위 관리가 된 뒤에는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민란의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여러 저술을 통해 이상적인 국왕의 모습과 선비의 예법을 논하였다.

보물로 지정된 허전의 초상은 그의 생전에 임금의 명령에 따라 그려졌다고 한다. 원래 경기도 안산에 있는 허전의 본가에서 보관하다가, 1916년 물산영당을 짓고 산청으로 옮겨 모셨으며, 2008년 경기도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