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13일 (금) 20:4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
한자 巨濟 德浦洞 이팝나무
주소 경상남도 거제시 덕포동 1039번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95호
지정일 1990년 1월 16일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생물상
수량/면적 1주/518
웹사이트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넓은 잎과 큰 키의 나무이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골짜기, 산지, 해안가 등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한국에서는 '쌀밥나무'라는 뜻의 '이팝나무'로 불리는데, 꽃이 필 때 나무 전체가 하얀 꽃으로 뒤덮여 쌀밥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은 5~6월에 피어 20일가량 만개한다.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는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3m로, 나이는 3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한다.

마을에서는 조상대대로 이 나무를 신성시하여 1970년대 까지 매년 동제* 를 지내왔다고 한다. 이 마을 사람들은 옛날부터 이 나무의 꽃피는 모양을 보고 그 해의 풍흉(豐凶)을 점쳤다고 하는데, 꽃이 활짝 피면 풍년이 들고 꽃이 시름시름 피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곁에 있는 돌무더기로 된 작은 탑은 마을의 안녕과 무사태평을 위하여 쌓았다고 하며, 이 돌은 왜적이 침입할 때면 방어용 무기로도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 나무는 거제 이팝나무 중에서 크고 수령이 많아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 동제(洞祭) :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지내는 제사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골짜기, 산지, 해안가 등 양지 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한국에서는 '쌀나무'라는 뜻의 '이팝나무'로 불리는데, 하얀 꽃이 쌀밥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은 5-6월에 피어 20일 가량 만개한다.

덕포동 이팝나무는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3m로, 나이는 300년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거제 지역에 있는 이팝나무 중에서도 규모가 크고 나이가 많아서 보존 가치가 높다.

이 마을 사람들은 오랫동안 이 나무를 신성시하여 1970년대까지 매년 제사를 지내왔다. 또한 옛날부터 이 나무의 꽃피는 모양을 보고 그 해의 풍흉(豐凶)을 점쳤다고 하는데, 꽃이 일시에 피면 풍년이 들고, 잘 피지 않으면 흉년이 진다고 한다.

곁에 있는 돌무더기로 된 작은 탑은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무사태평을 위하여 쌓았다고 하며, 이 돌은 왜적이 침입할 때면 방어용 무기로도 사용하였다고 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