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불국사 당간지주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26일 (월) 09:44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불국사 당간지주
불국사 당간지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불국사 당간지주
한자 佛國寺 幢竿支柱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진현동, 불국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6호
지정일 2012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당간
수량/면적 2쌍
웹사이트 불국사 당간지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사찰에 의례나 행사가 열릴 경우 깃발을 높이 달아 알렸는데, 그 깃발을 당(幢), 깃대를 당간(幢竿), 긴 당간이 흔들리지 않게 지탱해주는 지지대를 당간지주라고 한다. 보통 사찰에서는 1쌍이 설치되는데 반해 불국사나 황룡사(皇龍寺), 익산 미륵사(彌勒寺) 같은 큰 절에는 2쌍이 설치되어 이들 사찰의 높은 위상과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이 당간지주는 경내 입구 대석단 앞에 동서방향으로 2쌍이 나란히 있다. 동쪽의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때 것이지만, 서쪽의 당간지주는 서로 다른 당간지주를 후대에 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좌측의 당간지주 상부에는 대형 불화인 괘불(掛佛)을 걸기 위한 홈이 있어 조선시대에 괘불지주로 재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영문

Flagpole Supports of Bulguksa Temple

Flagpole supports are a pair of stone pillars that fastened a flagpole in place. Such flagpoles were used to mark Buddhist temple precincts by flying flags or to celebrate special events and large gatherings by hanging banners. There is typically one pair of flagpole supports at a Buddhist temple, but at large temples such as Bulguksa or Hwangnyongsa in Gyeongju or Mireuksa in Iksan, there are two pairs.

The two pairs of flagpole supports at Bulguksa Temple stand side by side in front of the entrance to the temple's main worship area. The flagpole supports on the east date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but the ones on the west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at a later time. On the insides of the flagpole supports, there are holes and grooves into which metal belts would have been inserted to secure the erected flagpole. On the top section of the left flagpole, there is a groove for hanging a large banner painting, suggesting it was used for this purpose in the Joseon period (1392-1910). At the base between the west supports is a stone into which the flagpole would have been placed.

  • 사진은 왼쪽은 받침대가 없고, 오른쪽에 받침대가 있어 문화재청 안내문에 의해 오른쪽은 서쪽 당잔지주이고 나중에 만든것이며, 왼쪽은 통일실라 당간일 것 이다. 그러나 '국문' 안내문에 의하면 '좌측당간'은 조선시대에 괘불을 걸었다고 하는데요... 뭔가... 이 방향을 제대로 확인해야 할 것 같은데 파악하기가 어려워요.
  • 사진은 남쪽으로 향해서 찍은 것 같아서, 동/서 방향은 지도와 반대로 되어 있는 것 같아요.
  • 괘불은 조서시대에만 사용한 건가요? 그러면 '이것이 조선시대에 만든 것이다'라고 하려는 건가요?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