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아산 송암사 석조여래입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17일 (토) 01:0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아산송암사석조여래입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4250000 아산 송...)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아산 송암사 석조여래입상
Stone Standing Buddha of Songamsa Temple, Asan
아산 송암사 석조여래 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아산 송암사 석조여래입상
영문명칭 Stone Standing Buddha of Songamsa Temple, Asan
한자 牙山 松岩寺 石造如來立像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26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5호
지정일 2020년 9월 10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소유자 재단법인 선학원(송암사 주지)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구 (전체높이 294cm, 어깨너비 64cm)
웹사이트 아산 송암사 석조여래 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아산 송암사 석조여래입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하는 기록은 없으나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이 불상은 높이가 2m 94㎝로 대형 석불이다. 마멸이 심하여 원래의 모습을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얼굴 부분은 대체로 또렷하게 잘 남아 있다. 귀는 늘어져 어깨에 닿아 있으며, 목에 있는 3개의 주름은 생사를 윤회하는 인과(因果)를 나타내고 있다. 불신은 거의 직사각형에 가까워 입체감을 느끼기 힘들다. 하반신의 옷 주름은 맨눈으로 확인이 어려우며 마모되었거나 생략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송암사 석조여래입상은 풍만하고 온화한 상호를 양감 있게 표현한 조각 기법이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간략하고 도식화되었으나 풍만한 양감을 입체적으로 드러낸 점 등 조각 기법으로 충청남도 지역 불상의 미감을 드러내고 있어 송암사 석조보살입상의 예술성과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영문

Stone Standing Buddha of Songamsa Temple, Asan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