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 승방터(익산 미륵사지)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12일 (금) 19:23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동원 승방터 東院 僧房址
Monks' Residence of the East Courtyard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미륵사지



해설문

국문

승방은 승려들이 생활하던 공간을 말한다. 미륵사지는 동원과 서원의 북회랑터에 연결된 승방터 2개소와 강당터 북쪽에 승방터 1개소가 있다. 동원과 서원 승방은 길이 65m, 폭 14m이고, 내부에 한 변 길이가 6m인 방 두 개가 남북으로 한 조를 이루며 4조씩 있다. 승방터는 사찰의 안과 밖을 출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방을 중심으로 사찰 내부와 외부에 복도와 같은 공간이 있다. 발굴 시 동원 승방터에는 구들 시설과 아궁이의 흔적이 있었으며, ‘대중12년(858) 미륵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편과 불에 탄 곡식 및 중국 당나라에서 만든 백자완 등이 출토되었다. 북쪽 기단 외부에서 백제시대 치미(鴟尾)가 발견되었다.

영문

Monks' Residence of the East Courtyard - 논의 필요

This is the site of the monks’ living quarters.

Three sites of monks’ living quarters were found at Mireuksa Temple site. Two of them are connected to the northern sections of the corridor surrounding of the east and west courtyard*. Another one is located behind the lecture hall. The sites of monks’ living quarters adjacent to the east and west courtyard measure 65 m in length and 14 m in width. Each of them had 8* square rooms. The rooms measured 6 m on each side. Both buildings had narrow corridors and entrances fac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temple. The excavation of this site also revealed the remains of the underfloor-heating system including the firebox. A number of artifacts were found around the site, including roof tile fragment(s) bearing inscriptions “Mireuksa Temple, year 858”, burned grains, and white porcelain rice bowls from Tang China. Also, outside the northern side of the building, a Baekje-period ridge-end roof tile was discovered.

  • or we could say that they are located to either side of the lecture hall.
  • 2방x4조=8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