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신관용류 가야금산조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11일 (금) 01:3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신관용류가야금산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223800250000 신관용류 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
한자 申寬龍流 伽倻琴 散調
지정번호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5호
지정일 2002년 8월 14일
분류 무형문화재
웹사이트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신관용류 가야금산조는 전북제 중 이영채에서 신관용*(1911~1957)에게 이어져 강순영(1927~2020)에게 전해졌다.

신관용류 가야금산조는 다른 산조에 비해 예스런 맛이 있는데, 장단은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에 단모리가 더해졌다.

계면조에 중심을 두고 있는 전북제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진양조에서 잉어걸이*가 자주 나오는 것도 신관용류 가야금산조의 특징이다.


  • 신관용 : 전라북도 김제에서 출생하여 이영채에게 가야금산조를 비롯한 여러 가지를 배웠으며 남원, 군산, 이리 등에서 국악원 사범을 지냈다.
  • 잉어걸이 : 연주나 소리를 할 때 박자를 붙이는 기교의 하나로 즉흥적이다. 늘여서 뒷박자에 붙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박자에 붙이는 연주나 소리기교를 말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가야금 산조는 가야금을 이용해 홀로 연주하는 민속 음악이다. 4개에서 6개의 장단으로 구성되어 느린 장단에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바뀌게 되며, 여러 유파가 전해지고 있다.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는 신관용(1911-1957)에서 강순영(1927-2020)에게 전해졌다. 신관용은 전북 김제 출신으로, 1966년부터 진주 국악원의 가야금 사범으로 활동했다.

신관용류 가야금산조의 특징은 진양조가 계면조로 시작되고, 장단에서 박자를 붙이는 즉흥적인 기교가 자주 나온다는 것이다. 또한 같은 장난 내에서도 선율의 변화가 많은 편이지만. 창작 가락은 첨가되지 않았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