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청곡사 괘불함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17일 (화) 01:2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청곡사괘불함.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2610000 진주 청곡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청곡사 괘불함
진주 청곡사 괘불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청곡사 괘불함
한자 晋州 靑谷寺 掛佛函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월아산로1440번길 138 (금산면, 청곡사)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지정(등록)일 1988년 12월 23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장엄구/장엄구
수량/면적 1點
웹사이트 진주 청곡사 괘불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곡사 괘불함은 국보 제302호로 지정된 청곡사 괘불을 보관하기 위하여 1722년(경종 2)에 괘불을 제작할 때 만들었다.

함의 크기는 길이가 약 676㎝로 매우 크지만 경첩, 감잡이*, 귀잡이, 들고리, 앞바탕, 자물쇠 등의 장석*이 잘 배치되고 꾸밈새가 뛰어나다.

특히, 들고리[들쇠]의 용머리 모양, 거북 모양의 자물쇠, 연꽃 따는 동자의 모습을 돋을새김한 앞바탕 등의 장석은 정교함과 아름다움에서 당시의 금속공예 솜씨를 알 수 있다.

대형 목가구에 사용된 장석은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이 드물어 장석 연구 자료로 가치가 있다.

국보 302호 청곡사 괘불의 화기(畵記)에 따르면 괘불함을 제작한 장인은 서선발(徐先發)이다.


  • 감잡이 : 목재의 이음을 보강하기 위해 모서리에 붙인 금속장식을 말한다.
  • 장석 : 목가구의 견고함과 아름다움을 위해 가구에 덧붙이는 금속 장식물로 주로 백동이나 황동을 사용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괘불함은 괘불을 보관하기 위해 제작되며, 괘불은 사찰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야외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데 쓰였다.

청곡사 괘불함은 1722년 청곡사 영산회 괘불탱(국보 제 302호)을 제작할 때 함께 만들어졌다. 괘불함을 제작한 사람은 ‘서선발’이라는 장인으로, 괘불탱의 화기에 이름이 남아있다.

소나무 목판으로 제작한 괘불함은 6m가 넘는 길이이며, 정교한 솜씨로 장식한 금속 장식들을 덧붙여 견고함을 보완하였다.

운반의 편의를 위한 10개의 철제 손잡이에는 용머리 장식이 되어 있고, 괘불 도난 방지를 위한 자물쇠에도 거북 모양과 연꽃을 따는 동자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또 모서리나 목재의 각 면이 맞닿는 부분에 부착해 함의 마모와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금속 부재와 보관함을 열고 닫기 위한 경첩에는 연꽃 장식이 새겨져 있다.

이 괘불함은 현재 청곡사 불교문화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 자료

  • 청곡사 홈페이지 http://t032.danah.co.kr/?c=3/27 -> 현재 소재 장소 정보 ; 청곡사 괘불을 보관하기 위하여 1722년 괘불과 함께 조성되었다. 평소 괘불함에는 청곡사 영산회 괘불탱을 넣어 보관하다가 괘불재를 올리는 등 필요할 때 괘불탱을 꺼내어 사용한다. 잠시 통도사의 성보박물관에 위탁보관하였으나 2008년 5월 12일 청곡사 내 불교문화박물관이 완성되어 현재는 청곡사에서 보관하고 있다. 괘불 화기에는 길이 6m가 넘는 거대한 괘불함을 만든 장인이 ‘서선발(徐先發)’이란 사람이며, 당시 ‘나무를 다루는 장인’을 ‘목양공(木良工)’으로 불렀음이 기재되어 있어 흥미롭다.
  • 괘불함 금속장식에 대한 연구 : 청곡사 괘불함 금속장식을 중심으로, 권범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 각 부재 세부 사진 및 설명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