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원 용담사 석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월 18일 (수) 09:2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남원용담사석등.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2610000 남원 용담사 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원 용담사 석등
남원 용담사 석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원 용담사 석등
한자 南原 龍潭寺 石燈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원천로 165-26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지정일 2019년 12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남원 용담사 석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석등(石燈)은 등불을 안치하는 공양구의 하나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불교에서 등불은 중생의 어리석음을 다스리는 지혜를 상징한다.

용담사 석등은 전체 높이가 2.84m 내외로서 지대석 위에 하대석, 간주석, 상대석, 화사석, 옥개석, 보주 등 전체적으로 온전한 형태를 갖고 있다.

8각의 간주석 기둥 아래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새겼고 기둥 위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표현하였다. 등불을 넣어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은 8각형으로 4면에는 장방형 화창을 뚫었다.

용담사 석등은 통일신라시대 간주석 석등을 계승하고 있는 형태적 특징과 고려시대 작품으로 여겨지는 용담사지 석조불상 및 칠층석탑과 함께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