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여주 이휘조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이휘조 묘 |영문명칭= |한자=李徽祚 墓 |주소=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내룡리 산9-1 |소...)
(차이 없음)

2023년 11월 14일 (화) 10:33 판


이휘조 묘
대표명칭 이휘조 묘
한자 李徽祚 墓
주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내룡리 산9-1
지정번호 여주시 향토문화유산



해설문

국문

이휘조(자는 자미, 본관은 한산, 1603~1681)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목은 이색의 후손이며, 부는 이조판서 이현영(李顯英)이다. 그리고 명성황후(明成皇后)의 7대 외조부이기 하다. 1637년 병자호란 직후 재상의 자제를 볼모로 보내야 한다는 청나라의 요구에 따라 이조판서의 아들로 심양에 끌려갔다 7년 만에 귀국 하였다. 1645년 장원서주부가 되고, 1664년(현종 5) 이천부사를 비롯하여 영천 군수, 파주 목사 등 여러 고을을 다스렸다.

묘는 이휘조와 부인 광주이씨의 합장묘이다. 묘역에는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이 있으며, 봉분에는 원형의 호석이 둘러져 있다. 입구의 묘갈은 숙종12년(1686)에 건립된 것으로 갈제(碣題)는 이조참판인 박세체가 지었으며 글씨는 당대의 명필인 남구만(南九萬)이 썼고, 비신 상단의 전액은 신익상(申翼相)이 올렸다.

이휘조 묘소 아래에는 손자 군자감판관 이명항(李明恒)의 묘가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