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은산별신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은산별신제.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273400090000 은산별신제], 국가문...)
(차이 없음)

2021년 6월 9일 (수) 10:19 판


은산별신제
Eunsan Byeolsinje (Village Ritual of Eunsan)
은산별신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은산별신제
영문명칭 Eunsan Byeolsinje (Village Ritual of Eunsan)
한자 恩山別神祭
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9호
지정일 1966년 2월 15일
분류 무형문화재/의례·의식/그 밖의 의식·의례
웹사이트 은산별신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은산리 마을 사당(별신당)에서 열리는 제사로 백제부흥군의 영혼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백제가 멸망한 뒤, 은산 지역에서 많은 사람이 큰 병으로 죽어갔다. 이때 마을 사람들이 백제 부흥군의 유골을 잘 묻어주고 그들의 영혼을 위해 굿을 지내주자 병이 사라지고 마을의 평안을 얻었다고 한다. 이후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내 온 것이 은산별신제이다.

별신제는 음력 정월이나 2월에 지낸다. 제사를 준비하는 임원은 대장, 중군, 패장, 사령 등으로 부르는데 이는 장군제(將軍祭)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제물은 부정이 타지 않도록 조심하며, 우물에 멍석을 덮고 금줄을 친 후 노랗고 검은 흙을 뿌려 부정의 접근을 막는다. 이후 마을 장승 옆에 세워 둘 나무를 베는 ‘진대베기’를 하고, 신에게 올릴 종이꽃을 만들어 제물과 함께 당집으로 향한다. 제사는 저녁에 시작해서 새벽까지 이어진다. 굿을 한 후 마을로 내려와 거리제를 열고 마을 동서남북에 장승을 세우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 행사는 물봉하기, 조라술담그기, 집굿행사. 진대(陣大)베기, 꽃받기, 상당(上堂)행사, 본제(本祭), 상당굿, 하당굿, 독산제(獨山祭)와 장승제이다.

영문

Eunsan Byeolsinje (Village Ritual of Eunsan)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