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4번째 줄: 44번째 줄:
  
 
====1차 수정====
 
====1차 수정====
 +
단계리 석조여래좌상은 연꽃 문양으로 장식한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부처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여래(如來)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단계마을이 풍수지리적으로 배 모양을 하고 있어 물난리가 자주 발생하자, 부처의 힘을 빌어 수해를 피하고자 이 불상을 세웠다고 한다. 불상을 세운 후에도 수해가 계속되었는데, 주변 나무에 배를 움직일 수 있도록 돛대와 삿대를 만들어 걸었더니 과연 수해가 없어졌다고 한다. 또 불상의 양손이 다 있으면 배를 저어 떠날 수 있으므로 불상의 팔 한쪽은 떼어냈다고 한다.
 +
 +
현재 불상은 전체적으로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불상의 머리는 떨어져 나갔던 것을 인근에서 찾아내 다시 붙였다고 하며, 얼굴 부분은 거의 다 마모되어 형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불상의 오른쪽 팔은 심하게 훼손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등에는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나타내는 광배(光背)를 달았던 흔적이 있으며, 이 불상의 것으로 추정되는 광배는 근처에서 조각만 확인되었다.
 +
 +
불상의 왼손에 약항아리로 추정되는 동그란 물건이 들려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이 불상을 약사여래상이라고 보기도 한다. 약사여래는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치고 수명을 연장해주는 부처로, 인간의 생로병사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예로부터 일반 민중들에게 인기 있는 신앙의 대상이었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2021년 5월 26일 (수) 01:58 판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한자 山淸丹溪里石造如來坐像
주소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767-3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
지정일 1972년 2월 12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1좌
웹사이트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풍수지리에 의하면, 이곳 단계 마을의 지형은 배(舟)의 모양새를 하고 있으므로, 이 배를 띄우기 위해서 예로부터 냇물이 넘쳐 물난리가 잦았다 한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부처의 힘으로 물난리를 막기 위해서 이곳에 불상을 세웠다.

그런데도 물난리가 계속되자 배에 돛대와 삿대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그것들을 만들어 주위의 가까운 나무에 걸어 두었더니 과연 그 뒤로 수해가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또 다른 전설에 의하면 이 불상이 손이 두 개 모두 있으면 배를 저어 떠난다 하여, 불상의 한쪽 팔을 떼어냈다고 한다.

그런 까닭인지, 현재의 불상은 오른쪽 팔 부분이 거의 떨어져 나간 채 훼손되어 원래 모습을 알아보기 힘들다. 떨어져 나갔던 머리 부분은 부근에서 찾아내어 다시 붙였다고 한다.

얼굴은 살이 붙어 통통한 편이지만, 세부적인 특징은 분명하지 않다. 넓고 각이 진 어깨, 튼튼한 가슴으로 표현한 상체는 건장한 모습인데 비해, 하체는 상대적으로 빈약하여 안정감을 잃고 있다. 이처럼 하반신이 상반신에 비해 약하게 표현되는 양식이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이다. 왼손에 약 항아리를 들고 있는 것 같은데, 이로써 우리는 이 불상이 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약사여래는 인간 세계의 모든 질병과 무지(無知)를 고쳐주는 부처로, 대의 왕불(大醫王佛)이라고도 부른다. 전체적인 조형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수정 국문

초고

연꽃으로 장식한 대좌 위에 앉아 있는 이 불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으로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전체적으로 훼손이 심한 상태로, 불상의 머리는 떨어져 나갔던 것을 인근에서 찾아내 다시 붙였다고 하며, 얼굴 부분은 거의 다 마모되어 형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불상의 오른쪽 팔은 심하게 훼손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등에는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나타내는 광배(光背)를 달았던 흔적이 있으나 광배는 근처에서 조각만 확인되었다.

불상의 왼손에는 약항아리로 추정되는 동그란 공 모양이 들려있으며, 이를 근거로 약사여래를 나타낸 불상으로 보고 있다. 약사여래는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치고 수명을 연장해주는 부처로, 인간의 생로병사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일반 민중들에게 인기 있는 신앙의 대상이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단계 마을이 풍수지리적으로 배(舟) 모양을 하고 있어 물난리가 자주 발생하자, 부처의 힘을 빌어 수해를 피하고자 이 불상을 세웠다고 한다. 불상을 세운 후에도 수해가 계속되었는데, 주변 나무에 배를 움직일 수 있도록 돛대와 삿대를 만들어 걸었고, 이후 수해가 없어졌다고 한다. 또 불상의 양손이 다 있으면 배를 저어 떠날 수 있으므로 불상의 팔 한쪽은 떼어냈다고 한다.

  • 지금은 이순신 장군 백의종군 행로유적지 안에 마련된 전각 안에 자리하고 있다.

1차 수정

단계리 석조여래좌상은 연꽃 문양으로 장식한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부처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여래(如來)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단계마을이 풍수지리적으로 배 모양을 하고 있어 물난리가 자주 발생하자, 부처의 힘을 빌어 수해를 피하고자 이 불상을 세웠다고 한다. 불상을 세운 후에도 수해가 계속되었는데, 주변 나무에 배를 움직일 수 있도록 돛대와 삿대를 만들어 걸었더니 과연 수해가 없어졌다고 한다. 또 불상의 양손이 다 있으면 배를 저어 떠날 수 있으므로 불상의 팔 한쪽은 떼어냈다고 한다.

현재 불상은 전체적으로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불상의 머리는 떨어져 나갔던 것을 인근에서 찾아내 다시 붙였다고 하며, 얼굴 부분은 거의 다 마모되어 형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불상의 오른쪽 팔은 심하게 훼손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등에는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나타내는 광배(光背)를 달았던 흔적이 있으며, 이 불상의 것으로 추정되는 광배는 근처에서 조각만 확인되었다.

불상의 왼손에 약항아리로 추정되는 동그란 물건이 들려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이 불상을 약사여래상이라고 보기도 한다. 약사여래는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치고 수명을 연장해주는 부처로, 인간의 생로병사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예로부터 일반 민중들에게 인기 있는 신앙의 대상이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800290000 → 불상이 있는 단계지방은 옛날부터 냇물이 넘쳐서 수해가 자주 일어나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세운 고려시대의 불상이라고 전해온다. 마멸이 심하여 원 상태를 알기 어려운데, 얼굴 부분은 근처에 있던 것을 옮겨다 붙여 놓았다고 한다. 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이 솟아있고 얼굴에는 살이 올라 양감이 풍부한 편이다. 신체는 어깨가 넓고 각이 졌으며 무릎 폭 또한 비교적 넓다. 특히 가슴부분이 발달하여 건장한 체구를 표현하고 있으나, 아쉽게도 오른쪽 부분이 거의 떨어져 나갔다. 옷은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있으며 굵은 옷주름이 뚜렷하게 표현되었는데, 특히 무릎 위의 옷주름은 좌우로 각각 반원형의 곡선을 이루고 있다. 오른손은 떨어져 나가고 없으나 왼손에 약그릇 같은 것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불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대좌(臺座)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를 새긴 상대와 연꽃을 엎어 놓은 모양의 무늬를 새긴 하대만이 남아 있다. 평행선을 이루는 옷주름이라든지 연꽃대좌의 형태와 빈약한 무릎의 표현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515
  • [산청여행] 산청 단계리 석조여래좌상, 가서 보고, 다음 블로그, 2016.6.5. https://blog.daum.net/kang1953/1392 → 현장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