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여수흥국사대웅전관음보살벽화.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618620000...)
 
(초고)
29번째 줄: 29번째 줄:
 
이 벽화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그린 것으로, 17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벽화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그린 것으로, 17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얀 장삼을 입은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이 장식된 보관을 썼다. 바다에서 솟아난 연꽃 대좌에 왼발을 올리고 오른발은 왼쪽 허벅지에 올린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초록색의 머리 광배가 표현되어 있다. 관음보살의 오른편에는 대좌에서 뻗어 나온 연꽃 가지 위에 관음보살의 상징인 감로병을 두고, 그 위에 극락조가 앉아 있는 모습을 그렸다. 오른 무릎 근처에는 합장을 한 선재동자가 있다.
+
하얀 장삼을 입은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이 장식된 보관을 썼다. 바다에서 솟아난 연꽃 대좌에 왼발을 올리고 오른발은 왼쪽 허벅지에 올린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초록색의 머리 광배가 표현되어 있다. 관음보살의 오른편에는 연꽃 가지 위에 있는 관음보살의 상징인 감로병과 그 위에 앉아 있는 극락조의 모습을 그렸다. 오른 무릎 근처에는 합장을 한 선재동자가 있다.
  
 
가로 336cm, 세로 289cm로 뒷벽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17장의 종이로 바탕을 마련한 뒤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
 
가로 336cm, 세로 289cm로 뒷벽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17장의 종이로 바탕을 마련한 뒤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
  
 
이 불화는 세부적인 표현 방식은 17세기 불화의 특징을 보여주지만, 배치 및 구성 방식이 독특하다. 특히 불전의 뒷벽에 예불화를 조성하는 경우 대부분 벽에 직접 그리는데, 이 그림은 한지에 그림을 그리고 그것을 벽에다 붙여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불화는 세부적인 표현 방식은 17세기 불화의 특징을 보여주지만, 배치 및 구성 방식이 독특하다. 특히 불전의 뒷벽에 예불화를 조성하는 경우 대부분 벽에 직접 그리는데, 이 그림은 한지에 그림을 그리고 그것을 벽에다 붙여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20년 4월 27일 (월) 13:53 판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Mura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Avalokitesvara Bodhisattva)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영문명칭 Mura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Avalokitesvara Bodhisattva)
한자 麗水 興國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국가유산 종목 보물 제1862호
지정(등록)일 2015년 3월 4일
분류 유물/불교회화/벽화/토벽화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점
웹사이트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지자체 제공 안내판 사진 누락.

수정 국문

초고

이 벽화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그린 것으로, 17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얀 장삼을 입은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이 장식된 보관을 썼다. 바다에서 솟아난 연꽃 대좌에 왼발을 올리고 오른발은 왼쪽 허벅지에 올린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초록색의 머리 광배가 표현되어 있다. 관음보살의 오른편에는 연꽃 가지 위에 있는 관음보살의 상징인 감로병과 그 위에 앉아 있는 극락조의 모습을 그렸다. 오른 무릎 근처에는 합장을 한 선재동자가 있다.

가로 336cm, 세로 289cm로 뒷벽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17장의 종이로 바탕을 마련한 뒤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

이 불화는 세부적인 표현 방식은 17세기 불화의 특징을 보여주지만, 배치 및 구성 방식이 독특하다. 특히 불전의 뒷벽에 예불화를 조성하는 경우 대부분 벽에 직접 그리는데, 이 그림은 한지에 그림을 그리고 그것을 벽에다 붙여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 자료

→기존문안 정보(추정) 참고

  • 여수 흥국사 대웅전 정밀실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3.

*전통사찰총서(서지정보 확인)

→그림 분석, 도상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