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하남 이성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하남_이성산성.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4220000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하남_이성산성.jpg
 
|사진=하남_이성산성.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4220000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4220000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하남 이성산성  C지구
+
|대표명칭=C지구 저수지
 
|한자=
 
|한자=
|영문명칭=
+
|영문명칭=Water Reservoir in Zone C
 
|종합안내판=하남 이성산성
 
|종합안내판=하남 이성산성
|위도=37.5253503840072
+
|위도=
|경도=127.185155726624
+
|경도=
 
}}
 
}}
  
===기존 국문===
+
=='''해설문'''==
없음
+
===국문===
 +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있다.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한다. 크기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토기, 연화문 수막새*, 자(尺), 명문이 새겨진 목간**, 허리가 잘록한 북의 일종인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수정 국문===
+
목간은 당시 생활 모습과 신라의 지방 지배 체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초고====
 
  
 +
----
 +
*연화문 수막새 : 연꽃 모양의 무늬가 있는 추녀 끝 장식 기와
 +
*목간 : 글을 적은 나뭇조각
  
====1차 수정====
+
===영문===
이성산성에서는 A지구에서 2곳, C지구에서 1곳 등 총 3곳의 저수지가 발견되었다.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Water Reservoir in Zone C of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발굴조사가 이전에도 이곳에 습지가 있어서 저수시설이 있던 곳으로 여겨졌다. 발굴 결과 장방형의 석축 저수지가 확인되었고, 규모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이 저수지에서는 토기류, 연화문 막새, 당척, 고구려척, 명문이 새겨진 목간,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
Water reservoirs were found in both Zones A and C of Iseongsanseong Fortress. The reservoir found in Zone C was located about 60 m higher than the one found in Zone A. It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in the same period as the second-phase reservoir of Zone A.
  
 +
This artificial rectangular stone reservoir is estimated to measure 21×15 m in size and about 1.8 m in depth. Various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is reservoir, including earthenwar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s, wooden slips with inscriptions, and wooden items, such as the barrel of a small double-headed drum (''yogo'').
  
=='''문맥요소'''==
 
===Nodes===
 
  
===Links===
+
*참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295# 민백 '요고']
  
 +
===영문 해설 내용===
 +
이성산성에서는 A지구와 C지구에서 저수지가 발견되었다.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 저수지는 돌로 쌓은 직사각형 저수지로, 규모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이곳에서는 토기, 연화문 수막새, 자, 명문이 새겨진 목간, 허리가 잘록한 북의 일종인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참고자료'''==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
파일:하남이성산성_C지구저수지.jpg | 『하남 이성산성 종합정비계획 수립 연구』, 재단법인 한울문화재연구원, 2019.
 +
</gallery>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경기도 문화유산]]
+
[[분류:하남시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분류:이성산성]]
 
 
[[분류:성곽]]
 
[[분류:성곽]]
 +
[[분류:하남 이성산성]]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12월 15일 (수) 11:12 기준 최신판

C지구 저수지
Water Reservoir in Zone C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Goto.png 종합안내판: 하남 이성산성



해설문

국문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있다.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한다. 크기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토기, 연화문 수막새*, 자(尺), 명문이 새겨진 목간**, 허리가 잘록한 북의 일종인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목간은 당시 생활 모습과 신라의 지방 지배 체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 연화문 수막새 : 연꽃 모양의 무늬가 있는 추녀 끝 장식 기와
  • 목간 : 글을 적은 나뭇조각

영문

Water Reservoir in Zone C of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Water reservoirs were found in both Zones A and C of Iseongsanseong Fortress. The reservoir found in Zone C was located about 60 m higher than the one found in Zone A. It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in the same period as the second-phase reservoir of Zone A.

This artificial rectangular stone reservoir is estimated to measure 21×15 m in size and about 1.8 m in depth. Various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is reservoir, including earthenwar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s, wooden slips with inscriptions, and wooden items, such as the barrel of a small double-headed drum (yogo).


영문 해설 내용

이성산성에서는 A지구와 C지구에서 저수지가 발견되었다.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저수지는 돌로 쌓은 직사각형 저수지로, 규모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이곳에서는 토기, 연화문 수막새, 자, 명문이 새겨진 목간, 허리가 잘록한 북의 일종인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