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하남 이성산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1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이성산성에서는 A지구에서 2곳, C지구에서 1곳 등 총 3곳의 저수지가 발견되었다.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가 이전에도 이곳에 습지가 있어서 저수시설이 있던 곳으로 여겨졌다. 발굴 결과 장방형의 석축 저수지가 확인되었고, 규모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이 저수지에서는 토기류, 연화문 막새, 당척, 고구려척, 명문이 새겨진 목간,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발굴조사가 이전에도 이곳에 습지가 있어서 저수시설이 있던 곳으로 여겨졌다. 발굴 결과 장방형의 석축 저수지가 확인되었고, 규모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이 저수지에서는 토기류, 연화문 막새, 당척, 고구려척, 당나라 자, 고구려 자, 명문이 새겨진 목간, 통의 허리가 잘록한 북의 일종인 요고(腰鼓),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이 저수지에서는 토기류, 연화문 막새, 당척, 고구려척, 명문이 새겨진 목간, 요고,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 어색한 말, 어려운 한자어는 한자 병기
      ->‘이 저수지에서는 토기류, 연화문 막새, 당척(唐尺)을 사용한 나무 자, 명문이 새겨진 목간, 요고(腰鼓),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1) 발굴조사가 이전에도 이곳에 습지가 있어서 저수시설이 있던 곳으로 여겨졌다.
      발굴조사 이전에도 이곳에 습지가 있어서 저수시설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었던 지역이다.

2차 수정

이성산성에서는 A지구에서 2곳, C지구에서 1곳 등 총 3곳의 저수지가 발견되었다. C지구 저수지는 A지구 저수지보다 약 60m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A지구 2차 저수지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 이전에도 이곳에 습지가 있어서 저수시설이 있던 것으로 추정된 지역이다. 발굴 결과 장방형의 석축 저수지가 확인되었고, 규모는 21×15m, 깊이 1.8m 정도이다. 이 저수지에서는 토기류, 연화문 막새, 당나라 자와 고구려 자, 명문이 새겨진 목간, 허리가 잘록한 북의 일종인 요고(腰鼓), 목제품 등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