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정 국문)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광양진월신아리보루.jpg
 
|사진=광양진월신아리보루.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602630000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602630000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대표명칭=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영문명칭=
+
|영문명칭=Fortress in Sina-ri of Jinwol-myeon, Gwangyang
 
|한자=光陽 津月 新鵝里 堡壘
 
|한자=光陽 津月 新鵝里 堡壘
 
|주소=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산 4번지 외
 
|주소=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산 4번지 외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백제시대 후기에 축성된 신아리 보루는 사방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해발 170m 산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군 금성면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 보여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로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석축한 산정식(퇴뫼식), 안팎을 모두 돌로 쌓은 협축식 보루로서 전남에서 희귀한 유적으로 손꼽히고 있다.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으며 총 길이는 약 100m, 벽의 너비는 약 500cm로 현재 가장 잘 남아있는 부분의 높이는 외벽 330cm, 내벽 200cm이다.
+
보루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시설물로, 주로 소규모의 성곽을 일컫는다.
  
===수정 국문===
+
진월 신아리 보루는 진월면 신아리 해발 170m 고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군 금성면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보여 섬진강 하류의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초고====
 
보루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시설물로, 주로 소규모의 성곽을 일컫는다.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는 진월면 신아리 해발 170m 고지에 자리잡고 있고, 지도상에는 봉임산성(鳳任山城)으로 표기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군 금성면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 보여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로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보루의 총 길이는 100m이고, 면적은 1,422㎡, 너비는 520㎝로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산 정상부의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퇴뫼식(머리띠식), 안팎을 모두 돌로 축성한 내외협축식 보루로서 전남에서 희귀한 유적으로 손꼽히고 있다. 다른 산성에 비해 정비가 잘 되어 있고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지만 9단의 석축이 확인된다.  
+
보루의 총 길이는 100m, 너비는 5.2m, 면적은 1,422㎡ 규모이다. 전체 성벽을 위에서 보면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으나 전반적으로 광양 지역의 다른 산성에 비해 정비가 잘되어 있는 편이다. 보루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로 회청색 경질토기 백제시대의 기와 등이 있는데, 토기는 백제 혹은 가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축조 시기는 삼국시대부터 있었다는 설과 임진왜란 시기에 쌓았다는 설이 있으나, 산성의 형식과 축조 기법으로 보아 백제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Fortress in Sina-ri of Jinwol-myeon, Gwangyang'''
  
====1차 수정====
+
This stone fortress, located on a low hill (170 m above sea level) in Sina-ri Villag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Baekje period (18 BCE-660 CE). It commands a view of the Seomjingang River and Hadong area to the east and the Jinwol-myeon Township area to the west. It was an optimal place for observing the enemy’s movement and was thus a valuable natural fortification.
보루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시설물로, 주로 소규모의 성곽을 일컫는다.  
 
  
진월 신아리 보루는 진월면 신아리 해발 170m 고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군 금성면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보여,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
When seen from above, the fortress has an oval shape oriented on an east-west axis. The walls measure 100 m in circumference and 5.2 m in width, and the overall area of the site measures 1,422 ㎡. Part of the southern section of the wall has collapsed, but the fortress is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compared to other fortresses in the Gwangyang area. Artifacts excavated in the vicinity include shards of blue-gray unglazed earthenware and shards of roof tile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by the Baekje kingdom or the Gaya confederacy (42-562).
  
보루의 총 길이는 100m이고, 면적은 1,422㎡, 너비는 5.2m로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지만, 전반적으로 광양 지역의 다른 산성에 비해 정비가 잘 되는 편이다. 보루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토기 조각 등이 있다.
+
===영문 해설 내용===
 +
이 보루는 해발 170m 고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보인다.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자문의견====
+
전체 성벽을 위에서 보면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총 길이는 100m, 너비는 5.2m, 면적은 1,422㎡ 규모이다.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지만, 전반적으로 광양 지역의 다른 산성에 비해 양호하게 남아 있는 편이다. 보루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 등이 있으며, 백제 또는 가야에서 만들어진 토기로 추정된다.
# 분야별 자문위원 1
 
#*''보루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소규모의 성곽 성곽을 일컫는다. <br/>진월 신아리 보루는 진월면 신아리 해발 170m 고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군 금성면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보여,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br/>보루의 총 길이는 100m이고, 면적은 1,422㎡, 석축으로 너비는 5.2m '''규모이다.''' 전체 성벽을 위에서 보면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지만, 전반적으로 광양 지역의 다른 산성에 비해 양호하게 남아 있는 편이다. 보루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토기 조각 등으로 백제 또는 '''가야계토기로 보고 있다.'''''
 
# 분야별 자문위원 2
 
#*
 
#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문맥요소'''==
 
=='''문맥요소'''==
90번째 줄: 82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광양시 문화유산]]
 
[[분류:광양시 문화유산]]
[[분류:문화재자료]]
+
[[분류:전라남도 문화재자료]]
[[분류:성곽]]
+
[[분류:보루]]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3년 7월 13일 (목) 13:45 기준 최신판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Fortress in Sina-ri of Jinwol-myeon, Gwangyang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영문명칭 Fortress in Sina-ri of Jinwol-myeon, Gwangyang
한자 光陽 津月 新鵝里 堡壘
주소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산 4번지 외
지정번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3호
지정일 2006년 12월 27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1,422㎡
웹사이트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보루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시설물로, 주로 소규모의 성곽을 일컫는다.

진월 신아리 보루는 진월면 신아리 해발 170m 고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군 금성면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보여 섬진강 하류의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보루의 총 길이는 100m, 너비는 5.2m, 면적은 1,422㎡ 규모이다. 전체 성벽을 위에서 보면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으나 전반적으로 광양 지역의 다른 산성에 비해 정비가 잘되어 있는 편이다. 보루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로 회청색 경질토기 백제시대의 기와 등이 있는데, 토기는 백제 혹은 가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Fortress in Sina-ri of Jinwol-myeon, Gwangyang

This stone fortress, located on a low hill (170 m above sea level) in Sina-ri Villag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Baekje period (18 BCE-660 CE). It commands a view of the Seomjingang River and Hadong area to the east and the Jinwol-myeon Township area to the west. It was an optimal place for observing the enemy’s movement and was thus a valuable natural fortification.

When seen from above, the fortress has an oval shape oriented on an east-west axis. The walls measure 100 m in circumference and 5.2 m in width, and the overall area of the site measures 1,422 ㎡. Part of the southern section of the wall has collapsed, but the fortress is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compared to other fortresses in the Gwangyang area. Artifacts excavated in the vicinity include shards of blue-gray unglazed earthenware and shards of roof tile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by the Baekje kingdom or the Gaya confederacy (42-562).

영문 해설 내용

이 보루는 해발 170m 고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섬진강과 하동 일대가, 서쪽으로는 진월면 일대가 내려다보인다. 적의 동태를 살피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임을 알 수 있다.

전체 성벽을 위에서 보면 동서축으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총 길이는 100m, 너비는 5.2m, 면적은 1,422㎡ 규모이다. 내벽의 경우 남쪽 일부분이 허물어졌지만, 전반적으로 광양 지역의 다른 산성에 비해 양호하게 남아 있는 편이다. 보루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 등이 있으며, 백제 또는 가야에서 만들어진 토기로 추정된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광양_진월_신아리_보루 Place 광양_진월_신아리_보루 산성의 형식과 축조 기법으로 보아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는 백제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봉임산성 Place 봉임산성 광양 진월 신아리 보루는 봉임산성이라고도 불린다
백제 Concept 백제
L36-0263-0000 Heritage (전라남도_문화재자료_제263호)광양_진월_신아리_보루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3호로 지정되어 있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광양_진월_신아리_보루 봉임산성 sameAs
광양_진월_신아리_보루 백제 isRelatedTo
광양_진월_신아리_보루 L36-0263-0000 isDesignatedAs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