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남해지족해협죽방렴.jpg
 
|사진=남해지족해협죽방렴.jpg
6번째 줄: 5번째 줄:
 
|영문명칭=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영문명칭=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한자=南海 只族海峽 竹防簾
 
|한자=南海 只族海峽 竹防簾
|주소=경남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
|주소=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명승 제71호
 
|지정번호=명승 제71호
17번째 줄: 16번째 줄:
 
|수량/면적=5,370,785㎡
 
|수량/면적=5,370,785㎡
 
|웹사이트=[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5380071000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웹사이트=[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5380071000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위도=34.8341829
+
|위도=34.832835539030825
|경도=127.9963145
+
|경도=128.0006303475385
 
}}
 
}}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남해 지족해협은 시속 13~15km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좁은 물목으로, 멸치를 대표 어종으로 하는 이 일대의 어로작업은 「죽방렴」으로 불리는 고유한 어획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23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된 우리나라 전통적 어업경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나무 어살 이라고도 하며, 물때를 이용하여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두었다가 필요한 만큼 건지는 재래식 어항으로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최고의 횟감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물살이 빠른 바다에 사는 고기는 탄력성이 높아 그 맛이 뛰어나다. 또한, 산과 바다가 공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갯벌생태, 수변 경관, 죽방렴 등 다양한 볼거리의 체험이 풍부하여 2010년 10월 18일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죽방렴은 지족 해협의 거센 물살을 이용한 전통 어로 방식으로 ‘대나무 어사리’라고도 부른다. 좁은 바다 물목에 참나무 지지대 300여 개를 갯벌에 박고 대나무 발을 조류가 흐르는 방향과 거꾸로 해서 V자로 벌려두어, 물살을 따라 들어온 물고기를 원형의 임통에 가두어 잡는다.  
  
===수정 국문===
+
예종 원년(1496년)에 편찬된 『경상도 속찬지리지』 남해현 조에 “방전에서 석수어, 홍어, 문어가 산출된다” 고 적혀 있는데, 방전은 죽방렴을 뜻한다. 죽방렴은 현재 지족 해협에 약 23여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해 5월에서 7월 사이에 고기를 잡는다.
====초고====
 
  
 +
지족 해협 죽방렴은 아름다운 지족 해협의 자연 경관과 우리나라 전통 어로 방식을 보여주는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1차 수정====
+
===영문===
 +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
This fishing facility uses traditional fishing weirs, called ''jukbangnyeom'' in Korean, that are made of oak posts and weaved bamboo to create V-shaped traps in which fish are caught with nets. It is located in Jijok Strait, a narrow body of water separating Namhaedo and Changseondo Islands.
 +
 +
About 23 fishing weirs, consisting of over 300 oak posts, are currently installed in the strait. Fish are caught primarily from May to July and include anchovy, largehead hairtail, halfbeak, flounder, and flathead grey mullet.
 +
 +
In recognition of the natural beauty of the strait and the cultural value of the 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this area was designated as a scenic site in 2010.
 +
 +
===영문 해설 내용===
 +
죽방렴은 한국의 전통 어로 방식으로, 참나무 지지대와 발처럼 엮은 대나무로 V자형의 어사리를 만들고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잡는다. 남해도와 창선도 사이의 좁은 물목인 지족해협에 위치한다.
 +
 +
현재 지족해협에는 300여 개의 참나무 지지대로 만든 23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되어 있다. 고기는 5월에서 7월 사이에 많이 잡히며, 주요 어종으로는 멸치, 갈치, 학꽁치, 도다리, 숭어 등이 있다.
 +
 +
아름다운 지족해협의 자연 경관과 전통 어로 방식을 보존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Nodes===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
 +
|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 Place ||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
 +
|-
 +
| 죽방렴 || Concept || 죽방렴 || 대나무와 물때를 활용한 전통어로 방식
 +
|-
 +
| 남해_지족해협 || Place || 남해_지족해협 ||
 +
|-
 +
| 전통어로방식 || Concept || 전통어로방식 ||
 +
|-
 +
| E00-0071-0000 || Heritage || (명승_제71호)_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 명승_제71호로 지정되어 있다.
 +
|}
  
 
===Links===
 
===Link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
|-
 +
|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 죽방렴 || isRelatedTo
 +
|-
 +
|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 남해_지족해협 || currentLocation
 +
|-
 +
| 죽방렴 || 전통어로방식 || type
 +
|-
 +
|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 E00-0071-0000 || isDesignatedAs
 +
|}
  
 
=='''참고자료'''==
 
=='''참고자료'''==
 +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53800710000
 +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등 3개소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0.08.18.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73512&sectionId=b_sec_1&pageIndex=1&strWhere=&strValue=&mn=NS_01_02
 +
* ‘전통 어로방식을 보여주는 어업문화경관’ 명승 제71호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월간 문화재사랑』, 2012년 8월호.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39&bbsId=BBSMSTR_1008&mn=NS_01_09_01
 +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843
 +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20618001325447
 +
* 지족해협 죽방렴, 앵글 속 지리학 (상), 푸른길, 201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8362&cid=43733&categoryId=43734
  
  
46번째 줄: 86번째 줄:
 
[[분류:남해군 문화유산]]
 
[[분류:남해군 문화유산]]
 
[[분류:명승]]
 
[[분류:명승]]
[[분류:]]
 
[[분류:]]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6월 7일 (월) 19:32 기준 최신판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영문명칭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한자 南海 只族海峽 竹防簾
주소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지정번호 명승 제71호
지정일 2010년 8월 18일
분류 자연유산/명승/자연경관
소유자 국유
관리자 남해군
수량/면적 5,370,785㎡
웹사이트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죽방렴은 지족 해협의 거센 물살을 이용한 전통 어로 방식으로 ‘대나무 어사리’라고도 부른다. 좁은 바다 물목에 참나무 지지대 300여 개를 갯벌에 박고 대나무 발을 조류가 흐르는 방향과 거꾸로 해서 V자로 벌려두어, 물살을 따라 들어온 물고기를 원형의 임통에 가두어 잡는다.

예종 원년(1496년)에 편찬된 『경상도 속찬지리지』 남해현 조에 “방전에서 석수어, 홍어, 문어가 산출된다” 고 적혀 있는데, 방전은 죽방렴을 뜻한다. 죽방렴은 현재 지족 해협에 약 23여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해 5월에서 7월 사이에 고기를 잡는다.

지족 해협 죽방렴은 아름다운 지족 해협의 자연 경관과 우리나라 전통 어로 방식을 보여주는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영문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This fishing facility uses traditional fishing weirs, called jukbangnyeom in Korean, that are made of oak posts and weaved bamboo to create V-shaped traps in which fish are caught with nets. It is located in Jijok Strait, a narrow body of water separating Namhaedo and Changseondo Islands.

About 23 fishing weirs, consisting of over 300 oak posts, are currently installed in the strait. Fish are caught primarily from May to July and include anchovy, largehead hairtail, halfbeak, flounder, and flathead grey mullet.

In recognition of the natural beauty of the strait and the cultural value of the 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this area was designated as a scenic site in 2010.

영문 해설 내용

죽방렴은 한국의 전통 어로 방식으로, 참나무 지지대와 발처럼 엮은 대나무로 V자형의 어사리를 만들고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잡는다. 남해도와 창선도 사이의 좁은 물목인 지족해협에 위치한다.

현재 지족해협에는 300여 개의 참나무 지지대로 만든 23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되어 있다. 고기는 5월에서 7월 사이에 많이 잡히며, 주요 어종으로는 멸치, 갈치, 학꽁치, 도다리, 숭어 등이 있다.

아름다운 지족해협의 자연 경관과 전통 어로 방식을 보존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Place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죽방렴 Concept 죽방렴 대나무와 물때를 활용한 전통어로 방식
남해_지족해협 Place 남해_지족해협
전통어로방식 Concept 전통어로방식
E00-0071-0000 Heritage (명승_제71호)_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명승_제71호로 지정되어 있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죽방렴 isRelatedTo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남해_지족해협 currentLocation
죽방렴 전통어로방식 type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E00-0071-0000 isDesignatedA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