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한남군 사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충주한남군사당.jpg
 
|사진=충주한남군사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300960000 충주 한남군 사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300960000 충주 한남군 사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충주 한남군 사당
 
|대표명칭=충주 한남군 사당
|영문명칭=
+
|영문명칭=Shrine of Prince Hannam, Chungju
 
|한자=忠州 漢南君 祠堂
 
|한자=忠州 漢南君 祠堂
 
|주소=충청북도 충주시
 
|주소=충청북도 충주시
23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한남군 사당은 세종(世宗)의 열한 번째 아들인 한남군 이어(李王於, 1429∼1459)와 그의 어머니 혜빈 양씨(惠嬪 楊氏), 부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 사당은 한남군의 증손 이헌경(李獻慶)이 충주로 내려와 자리 잡은 뒤 18세기에 건립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1933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
한남군 사당은 세종(世宗)의 열두 번째 아들인 한남군 이어(李王於, 1429∼1459)와 그의 어머니 혜빈 양씨(惠嬪 楊氏), 군부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 사당은 한남군의 고손 이헌경(李獻慶)이 충주로 내려와 자리를 잡은 뒤 18세기에 건립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단종에 대해 절개를 저버리지 않았던 한남군을 기리기 위해 그 후손들이 1933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한남군은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금성대군(錦城大君), 영풍군(永豊君), 혜빈 양씨와 함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였다는 죄로 1455년 금산에 유배되었다.이후 아산으로 옮겨졌다가 세조 2년인 1456년 음력 6월 27일에 함양으로 옮겨졌다. 한남군은 모든 논밭과 노비를 몰수당하고 1459년 병으로 사망하였다. 묘는 경남 함양에 있다.  
+
한남군은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금성대군(錦城大君), 영풍군(永豊君), 혜빈 양씨와 함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였다는 죄로 1455년 금산에 유배되었다.이후 세조 2년인 1456년 함양으로 옮겨졌고 유배지에서 사망하였다. 묘는 경남 함양에 있다.  
  
혜빈 양씨는 세종의 후궁으로 한남군의 어머니이며 단종의 유모였다.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여 왕이 되자 금성대군 등과 결탁하여 전횡을 휘둘렀다는 이유로 가산을 몰수당하고 청풍으로 유배되었다. 1455년 12월에 신하들의 상소로 교수형을 당했다. 시호는 문혜(文惠)였으나 정조 15년(1791)민정(愍貞)으로 고쳐 내렸다.
+
혜빈 양씨는 세종의 후궁으로 한남군의 어머니이며 단종의 유모였다.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여 왕이 되자 단종을 보호하기 위해 금성대군 등과 함께 반기를 들다 발각되어 1455년 청풍으로 귀양을 갔다가 그해 세조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시호(諡號)는 혜빈(惠嬪)이였으나 후에 민정(愍貞)으로 고쳐 내려 민정빈으로 불린다
  
동향(東向)사당은 가공된 장대석으로 축조한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전퇴*를 두었다. 겹처마 맞배지붕의 5량가(五梁家)이며 단청(丹靑)이 되어 있다.
+
동향(東向)으로 배치된 이 사당은 가공된 장대석으로 축조한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전퇴*를 두었다. 겹처마 맞배지붕의 5량가(五梁家)이며 단청(丹靑)이 되어 있다.
  
 
----
 
----
 
*전퇴(前退): 집채의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전퇴(前退): 집채의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 <font color="tomato">이헌경은 한남군의 고손임.</font>
 
  
 
===영문===
 
===영문===
 
'''Shrine of Prince Hannam, Chungju'''
 
'''Shrine of Prince Hannam, Chungju'''
  
This place is a shrine for the veneration of Yi Eo (1429-1459, i.e. Prince Hannam), the 11th* son of King Sejong (r. 1418-1450)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is mother Lady Yang (?-1455), and his wife Lady Gwon. This shrine was set up in the 18th century when Prince Hannam's great-great-grandson Yi Heon-gyeong settled in the Chungju area, but the current building was rebuilt in 1933.
+
This shrine venerates Yi Eo (1429-1459, i.e. Prince Hannam), the 12th son of King Sejong (r. 1418-1450)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is mother Lady Yang (?-1455), and his wife Lady Gwon. It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when Prince Hannam’s great-great-grandson Yi Heon-gyeong settled in the Chungju area. The current building, which dates to 1933, features a gable roof, two-tier eaves, and a veranda along the front.
  
Together with Lady Yang and several other of his brothers, Prince Hannam opposed his half-brother King Sejo (r. 1455-1468) when he took the throne from his nephew King Danjong (r. 1452-1455), and so he was exiled in 1456 to Geumsan Mountain. After this, he was moved to several homes in exile and in 1456, he was moved to Hamyang where he died from illness at his home in exile. His tomb is in Hamyang.
+
When his half-brother King Sejo (r. 1455-1468) took the throne from his nephew King Danjong (r. 1452-1455), Prince Hannam opposed the enthronement and was exiled to Geumsan. He was relocated several times before being sent to Hamyang in 1456. While in exile there, he died of illness and was buried.
  
Lady Yang is a concubine of King Sejong. As King Danjong's mother gave birth to King Danjong and passed away only a few days after, she took care of King Danjong by the order of King Sejong. After King Sejo ascended the throne, Lady Yang was exiled to Cheongpung (today's Geumsan Mountain area) where she was executed (by hanging?).
+
Lady Yang was a concubine of King Sejong. It is said that when the future King Danjong was born, his mother died of complications within days, so King Sejong ordered Lady Yi to raise the child. After King Sejo ascended the throne, Lady Yang was exiled to Cheongpung (in today’s Geumsan) and executed by hanging.
 
 
The shrine was built atop a foundation made of rectangular stones and its double-layer eaves were topped with a gable roof.
 
 
 
*The text about 세종왕자 한남군 묘역 says he was the 12th son?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 세종(재위 1418-1450)의 11번째 아들인 한남군 이어(1429-1459)와 그의 어머니 혜빈양씨(?-1455), 부인 안동권씨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 사당은 한남군의 고손 이헌경이 충주 지역에 정착한 18세기에 건립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1933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
이곳은 조선 세종(재위 1418-1450)의 12번째 아들인 한남군 이어(1429-1459)와 그의 어머니 혜빈양씨(?-1455), 부인 안동권씨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 사당은 한남군의 고손 이헌경이 충주 지역에 정착한 18세기에 처음 건립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33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겹처마 맞배지붕에 전퇴를 두었다.
 
 
한남군은 1455년 이복형인 세조(재위 1455-1468)가 조카 단종(재위 1452-1455)의 왕위를 빼앗자, 혜빈양씨와 다른 몇몇 형제들과 함께 세조의 즉위를 반대하다가 금산에 유배되었다. 이후 몇 차례 유배지가 옮겨지다가 1456년 함양으로 옮겨졌고 유배지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묘는 함양에 있다.
 
 
 
혜빈양씨는 세종의 후궁이다. 단종의 어머니가 단종을 낳고 며칠만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세종의 명으로 단종을 보육하였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뒤 혜빈양씨는 청풍(지금의 금산 지역)으로 유배되어 교수형을 당했다.  
 
  
사당은 장대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겹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
한남군은 이복형인 세조(재위 1455-1468)가 조카 단종(재위 1452-1455)의 왕위를 빼앗자, 세조의 즉위를 반대하다가 금산에 유배되었다. 이후 몇 차례 유배지가 옮겨지다가 1456년 함양으로 옮겨졌고 유배지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묘는 함양에 있다.
  
* 안동권씨에 대해서는 자료 없음.
+
혜빈양씨는 세종의 후궁이다. 단종의 어머니가 단종을 낳고 며칠 만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세종의 명으로 단종을 보육하였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뒤 혜빈양씨는 청풍(지금의 금산 지역)으로 유배되어 교수형을 당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3년 2월 24일 (금) 10:57 기준 최신판

충주 한남군 사당
Shrine of Prince Hannam, Chungju
충주 한남군 사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충주 한남군 사당
영문명칭 Shrine of Prince Hannam, Chungju
한자 忠州 漢南君 祠堂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국가유산 종목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6호
지정(등록)일 2020년 10월 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충주 한남군 사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남군 사당은 세종(世宗)의 열두 번째 아들인 한남군 이어(李王於, 1429∼1459)와 그의 어머니 혜빈 양씨(惠嬪 楊氏), 군부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 사당은 한남군의 고손 이헌경(李獻慶)이 충주로 내려와 자리를 잡은 뒤 18세기에 건립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단종에 대해 절개를 저버리지 않았던 한남군을 기리기 위해 그 후손들이 1933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한남군은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금성대군(錦城大君), 영풍군(永豊君), 혜빈 양씨와 함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였다는 죄로 1455년 금산에 유배되었다.이후 세조 2년인 1456년 함양으로 옮겨졌고 유배지에서 사망하였다. 묘는 경남 함양에 있다.

혜빈 양씨는 세종의 후궁으로 한남군의 어머니이며 단종의 유모였다.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여 왕이 되자 단종을 보호하기 위해 금성대군 등과 함께 반기를 들다 발각되어 1455년 청풍으로 귀양을 갔다가 그해 세조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시호(諡號)는 혜빈(惠嬪)이였으나 후에 민정(愍貞)으로 고쳐 내려 민정빈으로 불린다

동향(東向)으로 배치된 이 사당은 가공된 장대석으로 축조한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전퇴*를 두었다. 겹처마 맞배지붕의 5량가(五梁家)이며 단청(丹靑)이 되어 있다.


  • 전퇴(前退): 집채의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영문

Shrine of Prince Hannam, Chungju

This shrine venerates Yi Eo (1429-1459, i.e. Prince Hannam), the 12th son of King Sejong (r. 1418-1450)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is mother Lady Yang (?-1455), and his wife Lady Gwon. It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when Prince Hannam’s great-great-grandson Yi Heon-gyeong settled in the Chungju area. The current building, which dates to 1933, features a gable roof, two-tier eaves, and a veranda along the front.

When his half-brother King Sejo (r. 1455-1468) took the throne from his nephew King Danjong (r. 1452-1455), Prince Hannam opposed the enthronement and was exiled to Geumsan. He was relocated several times before being sent to Hamyang in 1456. While in exile there, he died of illness and was buried.

Lady Yang was a concubine of King Sejong. It is said that when the future King Danjong was born, his mother died of complications within days, so King Sejong ordered Lady Yi to raise the child. After King Sejo ascended the throne, Lady Yang was exiled to Cheongpung (in today’s Geumsan) and executed by hanging.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 세종(재위 1418-1450)의 12번째 아들인 한남군 이어(1429-1459)와 그의 어머니 혜빈양씨(?-1455), 부인 안동권씨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 사당은 한남군의 고손 이헌경이 충주 지역에 정착한 18세기에 처음 건립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33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겹처마 맞배지붕에 전퇴를 두었다.

한남군은 이복형인 세조(재위 1455-1468)가 조카 단종(재위 1452-1455)의 왕위를 빼앗자, 세조의 즉위를 반대하다가 금산에 유배되었다. 이후 몇 차례 유배지가 옮겨지다가 1456년 함양으로 옮겨졌고 유배지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묘는 함양에 있다.

혜빈양씨는 세종의 후궁이다. 단종의 어머니가 단종을 낳고 며칠 만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세종의 명으로 단종을 보육하였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뒤 혜빈양씨는 청풍(지금의 금산 지역)으로 유배되어 교수형을 당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