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한적 들노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흥한적들노래.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223600300000 고흥 한적들노래...)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고흥한적들노래.JPG
 
|사진=고흥한적들노래.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223600300000 고흥 한적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223600300000 고흥 한적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고흥 한적 들노래
 
|대표명칭=고흥 한적 들노래
|영문명칭=
+
|영문명칭=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한자=高興 閑笛 들노래
 
|한자=高興 閑笛 들노래
 
|주소=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
 
|주소=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에 전승되 논일을 때 부르는 노동요로, 현재 기계화영농으로 인해서 이젠 들노래를 부르며 논일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과거에 특히 벼농사를 지을 때, 노동의 효과를 높이는 것은 곧 생산력과 생산량을 증대하는 것이어서 들노래는 극히 주요한 에너지원이었다. 한적 들노래는 <산아지타령>이 중심적으로 불린다.
+
한적 들노래는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농민들의 노동요이다. 논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 힘겨운 노동의 고단함을 해소하면서 농사일의 능률도 높이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이러한 노래들을 불렀다.
  
<산아지타령>은 전남의 동부 지역에서 즐겨 부르는 들노래로서 특히 <진도아리랑>을 배태시킨 원형이기도 하다. 본래 <논매는 소리>로 불리는 것이 상례이지만 한적마을에서는 일손이 빨라지거나 일할 때 흥을 한껏 돋우기 위해서도 부른다. 한적 들노래는 전반적으로 육자배기토리가 중심을 이루면서도 메나리조가 부분적으로 드러나며, 또한 경토리조가 섞이는 것에서 남사당의 영향을 일부 받았을 것으로 추론된다.
+
한적 들노래는 벼농사 과정 중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할 때 불리며, 일꾼 중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노래의 내용 중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는 주로 여자들이 부르고, 「논매기 노래」는 논을 맬 때 남자들이 부르며, 「질가락」은 논매기 마지막 날 불렀다.  
  
한적마을은 고흥반도의 해안에 자리하고 있다. 반농반어(半農半漁)를 생업으로 한다. ‘한적 들노래’는 처음 지춘상이 전남의 농요를 수집·발굴하면서 책자에 실리는 한편 문화방송국의 민요 수집 활동 과정을 통해서도 알려지게 되었다. 1988년 제17회 남도문화제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듬해 전남 대표로 제3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하여 민요 부분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현재는 ‘고흥한적농요보존회’가 전승 활동을 하고 있다.
+
이 노래는 전라남도의 들노래 중 지리산 주변의 섬진강 유역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의 동부 해안지대까지 이어지는 동부 지역의 산아지타령권에 속한다. 산아지타령은 「진도아리랑」을 배태시킨 원형으로, 한적마을에서는 일손이 빨라지거나 일할 때 흥을 한껏 돋우기 위해 가창되기도 한다.
  
들노래는 주로 논농사와 관련하여 부르는 노동요를 일컫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한적들노래 역시 벼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집단적인 노동이 이루어지는 작업에서 불린다. 벼농사는 실제로 볍씨 담그기를 시작으로 못자리 만들기, 모 찌기, 모내기, 김매기, 추수 등으로 이어지는데, 들노래는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하는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 과정에서 불린다. 일꾼 중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다른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작업의 순서에 따라 불리는 들노래는 다음과 같다.
+
현재는 고흥한적들노래 민속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으며, 고흥군에서 살아온 전통적인 농부이자 소리꾼인 정봉주와 박반심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우선 <모 찌는 소리>이다. 새벽부터 모찌기가 시작되는데 여자들이 이 일을 맡는다. 먼저 메김소리를 하는 사람이 후렴을 부르면서 이끌면 다른 사람들이 후렴을 반복해서 따라하는 것으로 노래가 시작한다. 처음에는 <방애소리>로 시작하지만, 쉬었다가 다시 일을 시작하거나 일손을 빨리 움직일 때는 <산아지타령>을 부르기도 한다.
+
===영문===
 +
'''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수정 국문===
+
Farmers’ songs are call-and-response style songs sung to withstand the exhaustion of the laborious farming work and to wish for an abundant harvest.
====초고====
 
  
 +
The Farmers’ Songs of Hanjeok (''Hanjeok Deullorae'') refers to the songs performed by the farmers of Hanjeok Village in Goheung. They are sung during the steps of rice cultivation which require the coordination of many people, such as picking rice seedlings,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and weeding. The songs for rice seedling picking and transplanting are sung mainly by the women, while the ones for weeding are sung by the men. On the last day, a celebration song is performed.
  
====1차 수정====
+
Since its design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1996, the Farmers’ Song of Hanjeok has been preserved by a folksong conservation association led by Mr. Jeong Bong-ju and Ms. Bak Ban-sim.
  
 +
===영문 해설 내용===
 +
들노래는 힘겨운 농사일의 고단함을 해소하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
 +
한적 들노래는 고흥 한적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농요이다. 벼농사 과정 중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할 때 불린다. 노래의 내용 중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는 주로 여자들이 부르고, 「논매기 노래」는 논을 맬 때 남자들이 부르며, 「질가락」은 논매기 마지막 날 불렀다.
 +
 +
1996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고흥한적들노래 민속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으며, 정봉주와 박반심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46번째 줄: 52번째 줄:
 
|-
 
|-
 
|}
 
|}
 
  
 
===Links===
 
===Links===
53번째 줄: 58번째 줄:
 
|-
 
|-
 
|}
 
|}
 
 
  
 
=='''참고자료'''==
 
=='''참고자료'''==
 +
* 고흥 한적 들노래,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문학사전(민요 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3584&cid=50223&categoryId=51052
 +
* 고흥 한적 들노래,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7071&cid=40942&categoryId=39201
 +
* 고흥 한적 들노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093
 +
* 고흥 한적 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223600300000
 +
* 고흥 한적 들노래, 문화포털,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6847&ccm_code=B011
  
  
65번째 줄: 73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
[[분류:농요]]

2021년 10월 6일 (수) 08:47 기준 최신판

고흥 한적 들노래
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고흥 한적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흥 한적 들노래
영문명칭 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한자 高興 閑笛 들노래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
지정번호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
지정일 1996년 10월 14일
분류 무형문화재/전통 공연·예술/종합예술
웹사이트 고흥 한적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적 들노래는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농민들의 노동요이다. 논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 힘겨운 노동의 고단함을 해소하면서 농사일의 능률도 높이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이러한 노래들을 불렀다.

한적 들노래는 벼농사 과정 중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할 때 불리며, 일꾼 중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노래의 내용 중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는 주로 여자들이 부르고, 「논매기 노래」는 논을 맬 때 남자들이 부르며, 「질가락」은 논매기 마지막 날 불렀다.

이 노래는 전라남도의 들노래 중 지리산 주변의 섬진강 유역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의 동부 해안지대까지 이어지는 동부 지역의 산아지타령권에 속한다. 산아지타령은 「진도아리랑」을 배태시킨 원형으로, 한적마을에서는 일손이 빨라지거나 일할 때 흥을 한껏 돋우기 위해 가창되기도 한다.

현재는 고흥한적들노래 민속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으며, 고흥군에서 살아온 전통적인 농부이자 소리꾼인 정봉주와 박반심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영문

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Farmers’ songs are call-and-response style songs sung to withstand the exhaustion of the laborious farming work and to wish for an abundant harvest.

The Farmers’ Songs of Hanjeok (Hanjeok Deullorae) refers to the songs performed by the farmers of Hanjeok Village in Goheung. They are sung during the steps of rice cultivation which require the coordination of many people, such as picking rice seedlings,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and weeding. The songs for rice seedling picking and transplanting are sung mainly by the women, while the ones for weeding are sung by the men. On the last day, a celebration song is performed.

Since its design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1996, the Farmers’ Song of Hanjeok has been preserved by a folksong conservation association led by Mr. Jeong Bong-ju and Ms. Bak Ban-sim.

영문 해설 내용

들노래는 힘겨운 농사일의 고단함을 해소하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한적 들노래는 고흥 한적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농요이다. 벼농사 과정 중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할 때 불린다. 노래의 내용 중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는 주로 여자들이 부르고, 「논매기 노래」는 논을 맬 때 남자들이 부르며, 「질가락」은 논매기 마지막 날 불렀다.

1996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고흥한적들노래 민속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으며, 정봉주와 박반심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