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흥 한적 들노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32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
'''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
 +
''Hanjeok Deullorae'' refers to work songs performed by the farmers of Hanjeok Village in Yongdong-ri, Dodeok-myeon, Goheung-gun County. When the farmers did rice farming as public work (?), they sang these songs to alleviate hardships from the labor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working of farmers, also to wish for a good harvest year.
 +
 +
''Hanjeok Deullorae'' are sung when several people have to arrange (align?) their work like digging up rice seedlings,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and weeding during rice farming, so the songs are performed as one of the workers does the begging of the song and the rest of the workers receive the response pattern (?). Among the content of the songs, women sing mainly ''Rice Seedling Picking Song'' (Mojjigi Norae) and ''Rice Seedling Transplanting Song'' (Mosimgi Norae), men sing ''Weeding Song'' (Nonmaegi Norae) when weeding, and ''Work (?) Melody'' (Jilgarak) is sung on the last day of weeding.
 +
 +
Currently, the Folklore Conservation Association is dedicated to the performance of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and Jeong Bong-ju and Bak Ban-sim, traditional farmers and singers living in Goheung-gun County, transmit this heritage for future generation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7월 23일 (금) 03:22 판


고흥 한적 들노래
고흥 한적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흥 한적 들노래
한자 高興 閑笛 들노래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
지정번호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
지정일 1996년 10월 14일
분류 무형문화재/전통 공연·예술/종합예술
웹사이트 고흥 한적들노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적 들노래는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농민들의 노동요이다. 논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 힘겨운 노동의 고단함을 해소하면서 농사일의 능률도 높이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이러한 노래들을 불렀다.

한적 들노래는 벼농사 과정 중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할 때 불리며, 일꾼 중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노래의 내용 중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는 주로 여자들이 부르고, 「논매기 노래」는 논을 맬 때 남자들이 부르며, 「질가락」은 논매기 마지막 날 불렀다.

이 노래는 전라남도의 들노래 중 지리산 주변의 섬진강 유역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의 동부 해안지대까지 이어지는 동부 지역의 산아지타령권에 속한다. 산아지타령은 「진도아리랑」을 배태시킨 원형으로, 한적마을에서는 일손이 빨라지거나 일할 때 흥을 한껏 돋우기 위해 가창되기도 한다.

현재는 고흥한적들노래 민속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으며, 고흥군에서 살아온 전통적인 농부이자 소리꾼인 정봉주와 박반심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영문

Goheung Hanjeok Deullorae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Hanjeok Deullorae refers to work songs performed by the farmers of Hanjeok Village in Yongdong-ri, Dodeok-myeon, Goheung-gun County. When the farmers did rice farming as public work (?), they sang these songs to alleviate hardships from the labor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working of farmers, also to wish for a good harvest year.

Hanjeok Deullorae are sung when several people have to arrange (align?) their work like digging up rice seedlings,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and weeding during rice farming, so the songs are performed as one of the workers does the begging of the song and the rest of the workers receive the response pattern (?). Among the content of the songs, women sing mainly Rice Seedling Picking Song (Mojjigi Norae) and Rice Seedling Transplanting Song (Mosimgi Norae), men sing Weeding Song (Nonmaegi Norae) when weeding, and Work (?) Melody (Jilgarak) is sung on the last day of weeding.

Currently, the Folklore Conservation Association is dedicated to the performance of Farmers’ Songs of Hanjeok, Goheung, and Jeong Bong-ju and Bak Ban-sim, traditional farmers and singers living in Goheung-gun County, transmit this heritage for future generations.

영문 해설 내용

한적 들노래는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농민들의 노동요이다. 논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 힘겨운 노동의 고단함을 해소하면서 농사일의 능률도 높이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이러한 노래들을 불렀다.

한적 들노래는 벼농사 과정 중 모 뜨기, 모내기, 김매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일손을 맞추어야 할 때 불리며, 일꾼 중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뒷소리를 받는 것으로 노래가 진행된다. 노래의 내용 중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는 주로 여자들이 부르고, 「논매기 노래」는 논을 맬 때 남자들이 부르며, 「질가락」은 논매기 마지막 날 불렀다.

현재는 고흥한적들노래 민속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으며, 고흥군에서 살아온 전통적인 농부이자 소리꾼인 정봉주와 박반심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