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남해지족해협죽방렴.gif
+
|사진=남해지족해협죽방렴.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5380071000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5380071000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대표명칭=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021년 4월 1일 (목) 08:23 판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영문명칭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한자 南海 只族海峽 竹防簾
주소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지정번호 명승 제71호
지정일 2010년 8월 18일
분류 자연유산/명승/자연경관
소유자 국유
관리자 남해군
수량/면적 5,370,785㎡
웹사이트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남해 지족해협은 시속 13~15km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좁은 물목으로, 멸치를 대표 어종으로 하는 이 일대의 어로작업은 「죽방렴」으로 불리는 고유한 어획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23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된 우리나라 전통적 어업경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나무 어살 이라고도 하며, 물때를 이용하여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두었다가 필요한 만큼 건지는 재래식 어항으로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최고의 횟감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물살이 빠른 바다에 사는 고기는 탄력성이 높아 그 맛이 뛰어나다. 또한, 산과 바다가 공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갯벌생태, 수변 경관, 죽방렴 등 다양한 볼거리의 체험이 풍부하여 2010년 10월 18일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분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