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양희 신도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함양양희신도비.jpg
 
|사진=함양양희신도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5460000 함양 양희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5460000 함양 양희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함양 양희 신도비
 
|대표명칭=함양 양희 신도비
|영문명칭=
+
|영문명칭=Stele of Yang Hui, Hamyang
|한자=
+
|한자=咸陽 梁喜 神道碑
 
|주소=
 
|주소=
 
|소장처=
 
|소장처=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문화재는 구졸암(九拙菴) 양희(梁喜, 1515~1580)의 신도비이다. 구졸암은 노진(盧禛), 이후백(李後白)과 함께 이른바 천령삼걸(天嶺三傑)의 일인으로, 1546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대사간(大司諫)에 이르렀으며, 숙종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본 신도비는 1858년에 세워진 것이나 석재 자체는 구졸암의 손자에 의해 이미 350여 년 전에 다듬어진 것이라고 한다.
+
비는 구졸암 양희(九拙菴 梁喜, 1515~1581)의 신도비(임금이나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의 무덤 동남쪽의 큰길가에 세운 석비)이다. 비는 1858년 세워졌으나 석재는 구졸암의 손자가 이미 350여 년 전에 다듬어서 준비해 둔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 신도비의 비문은 대제학 이덕수(李德壽, 1673~1744)가 찬술하였고, 글씨는 호조참판 노광두(盧光斗, 1772~1859)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 중앙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문화재적 가치가 더욱 높이 평가된다.
+
구졸암은 노진, 이후백과 함께 이른바 천령(함양)삼걸(天嶺三傑)의 한 명으로, 1546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친 뒤 대사간에 이르렀으며 숙종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수정 국문===
+
신도비의 비문은 대제학 이덕수가 찬술하였고 글씨는 호조참판 노광두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의 중앙 정계와 경상 우도 유림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비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게 평가받고 있다.
====초고====
 
이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양희(梁喜, 1515~1580)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858년에 건립한 것이다.  
 
  
그는 1540년에 진사에 급제하였고, 1546년에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기도 했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는 길에 1580년 중국 옥하관에서 병사하였다. 이후 숙종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함양의 구천사(龜川祠)에 제향되었다.
+
===영문===
 +
'''Stele of Yang Hui, Hamyang'''
  
그는 이 지역 출신인 노진(盧禛, 1518~1578), 이후백(李後白, 1520~1578)과 함께 “천령삼걸(天嶺三傑)”로 불렸는데, 천령은 함양의 옛 지명이다. 스스로 아홉 가지의 옹졸함을 지녔다는 뜻으로 “구졸암(九拙菴)”이라는 호를 사용했고, 항상 자신의 학문이 모자란다는 생각으로 평생 학문에 몰두하였다.
+
This is the stele of Yang Hui (1515-1580),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It was erected in 1858 by his descendants. It is said that it was made using a stone prepared by his grandson.
  
이 신도비의 비문은 대제학 이덕수(李德壽, 1673~1744)가 찬술하였고, 글씨는 호조참판 노광두(盧光斗, 1772~1859)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 중앙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문화재적 가치가 더욱 높이 평가된다.
+
Yang Hui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46 and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He also was one of the people who compiled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 (r. 1545-1567), the 13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e believ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too much learning, so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his studies. In 1580, during a visit to Ming China as a royal envoy, he became ill and died at the envoy’s residence in Beijing.
  
====1차 수정====
+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as composed and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s Yi Deok-su (1673-1744) and No Gwang-du (1772-1859), respectively. The inscription is valu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olitic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rends among Confucian scholars in the western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at the time.
조선 중기의 문신인 양희(梁喜, 1515~1580)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858년에 세운 신도비이다. 신도비란 임금이나 벼슬이 높은 사람의 일생과 업적을 새겨서 무덤 근처에 세워두는 비석을 말한다.  
 
  
양희는 1546년에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기도 했다. 스스로 ‘아홉 가지의 옹졸함을 지녔다’는 뜻으로 구졸암(九拙菴)이라는 호를 사용했고, 항상 배움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며 평생 학문에 몰두하였다. 1580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는 길에 북경에 있던 사신들의 숙소인 옥하관에서 병사하였다.
+
===영문 해설 내용===
 
+
이 비는 조선시대의 문신인 양희(1515-1580)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858년에 세웠다. 석재는 양희의 손자가 미리 준비해 둔 것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신도비의 비문은 이덕수(李德壽, 1673~1744)가 지었고, 글씨는 노광두(盧光斗, 1772~1859)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 중앙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자문의견====
 
#분야별 자문위원 1
 
#* 조선 중기 문신 양희(梁喜, 1515~1580, 본관; 남원)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1858년(철종 9)에 세운 신도비이다. 신도비란 임금이나 벼슬이 높은 사람의 일생과 업적을 새겨서 무덤의 동남쪽에 세운 비석을 말한다. 조선시대 이후에는 정2품 이상의 뚜렷한 공적과 학문이 뛰어나 후세의 교훈이 되는 사람을 위해 세웠다. 
 
#* 양희는 1546년(명종 1)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했다. 스스로 ‘아홉 가지 옹졸함을 지녔다’는 뜻으로 구졸암(九拙菴)이라는 호를 사용했고, 배움이 모자란다는 생각으로 평생 학문에 몰두하였다. 명나라 사신으로 다녀오던 1580년(선조 13)에 북경의 사신 숙소인 옥하관에서 병사하였다.
 
#* 비각 뒤쪽에 선생의 유적지 대고대가 있으며, 청백리 집안의 후예로서 천령(함양) 삼걸이라 불렸다. 비문은 이조판서를 역임한 이덕수(李德壽, 1673~1744, 본관; 전의)가 지었고, 글씨는 호조참판을 역임한 노광두(盧光斗, 1772~1859, 본관;  풍천)가 썼다. 비문의 내용 중 당시 중앙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아 역사자료적 가치가 높다.
 
#분야별 자문위원 2
 
#* 편찬에 참여하기도 했다. →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 1580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는 길에 북경에 있던 사신들의 숙소인 옥하관에서 병사하였다. → 1580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북경에 있던 사신들의 숙소인 옥하관에서 병사하였다.
 
#읽기쉬운문안 자문위원
 
#* 수정사항 없음.
 
 
 
====2차 수정====
 
조선 중기의 문신인 양희(梁喜, 1515~1580)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858년에 세운 신도비이다. 신도비란 임금이나 벼슬이 높은 사람의 일생과 업적을 새겨서 무덤 동남쪽에 세워두는 비석을 말한다.
 
 
 
양희는 1546년에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스스로 ‘아홉 가지의 옹졸함을 지녔다’는 뜻으로 구졸암(九拙菴)이라는 호를 사용했고, 항상 배움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며 평생 학문에 몰두하였다. 1580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북경에 있던 사신들의 숙소인 옥하관에서 병사하였다.
 
 
 
신도비의 비문은 이덕수(李德壽, 1673~1744)가 지었고, 글씨는 노광두(盧光斗, 1772~1859)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 중앙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문맥요소'''==
 
===Nodes===
 
 
 
===Links===
 
  
 +
양희는 1546년에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스스로 항상 배움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며 평생 학문에 몰두하였다. 1580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북경에 있던 사신들의 숙소에서 병사하였다.
  
 +
신도비의 비문은 문신 이덕수(1673-1744)가 지었고, 글씨는 노광두(1772-1859)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 중앙 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함양문화원, 『함양금석문총람』, 함양문화원, 2004.
+
*함양문화원, 『함양금석문총람』, 함양문화원, 2004. →신도비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비문에는 남원 양씨의 유래, 양희의 이력, 1580년 동지사로 명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사망했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신도비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비문에는 남원 양씨의 유래, 양희의 이력, 1580년 동지사로 명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사망했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함양 양희 신도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3413805460000#
 
*함양 양희 신도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3413805460000#
 
* 함양 양희 신도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함양 양희 신도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79번째 줄: 53번째 줄:
 
[[분류:문화재자료]]
 
[[분류:문화재자료]]
 
[[분류:신도비]]
 
[[분류:신도비]]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함양 양희 신도비
Stele of Yang Hui, Hamyang
함양 양희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양 양희 신도비
영문명칭 Stele of Yang Hui, Hamyang
한자 咸陽 梁喜 神道碑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6호
지정일 2012년 3월 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
수량/면적 1
웹사이트 함양 양희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비는 구졸암 양희(九拙菴 梁喜, 1515~1581)의 신도비(임금이나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의 무덤 동남쪽의 큰길가에 세운 석비)이다. 비는 1858년 세워졌으나 석재는 구졸암의 손자가 이미 350여 년 전에 다듬어서 준비해 둔 것이라고 전해진다.

구졸암은 노진, 이후백과 함께 이른바 천령(함양)삼걸(天嶺三傑)의 한 명으로, 1546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친 뒤 대사간에 이르렀으며 숙종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신도비의 비문은 대제학 이덕수가 찬술하였고 글씨는 호조참판 노광두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의 중앙 정계와 경상 우도 유림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비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게 평가받고 있다.

영문

Stele of Yang Hui, Hamyang

This is the stele of Yang Hui (1515-1580),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It was erected in 1858 by his descendants. It is said that it was made using a stone prepared by his grandson.

Yang Hui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46 and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He also was one of the people who compiled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 (r. 1545-1567), the 13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e believ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too much learning, so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his studies. In 1580, during a visit to Ming China as a royal envoy, he became ill and died at the envoy’s residence in Beijing.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as composed and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s Yi Deok-su (1673-1744) and No Gwang-du (1772-1859), respectively. The inscription is valu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olitic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rends among Confucian scholars in the western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at the time.

영문 해설 내용

이 비는 조선시대의 문신인 양희(1515-1580)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858년에 세웠다. 석재는 양희의 손자가 미리 준비해 둔 것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양희는 1546년에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스스로 항상 배움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며 평생 학문에 몰두하였다. 1580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북경에 있던 사신들의 숙소에서 병사하였다.

신도비의 비문은 문신 이덕수(1673-1744)가 지었고, 글씨는 노광두(1772-1859)가 썼다. 비문의 내용 가운데는 당시 중앙 정계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