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포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85%BC%ED%98%84&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060000&ccbaCtcd=23&ccbaCpno=211230006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B%85%BC%ED%98%84#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85%BC%ED%98%84&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060000&ccbaCtcd=23&ccbaCpno=211230006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B%85%BC%ED%98%84#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대표명칭=논현포대
 
|대표명칭=논현포대
|영문명칭=
+
|영문명칭=Nonhyeonpodae Artillery Post
 
|한자=論峴砲臺
 
|한자=論峴砲臺
 
|주소=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203-31  
 
|주소=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203-31  

2018년 8월 6일 (월) 16:51 판

논현포대
Nonhyeonpodae Artillery Post
대표명칭 논현포대
영문명칭 Nonhyeonpodae Artillery Post
한자 論峴砲臺
주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203-31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
지정일 1982.03.02
시대 조선
수량/면적 2좌 / 1,826㎡



해설문

국문

19세기 후반 외세의 침입이 빈번해지자 인천과 부평 연안의 군사방어시설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종 16년인 1879년에 쌓은 포대이다. 일명 호구(虎口) 포대로도 불리는 이 포대는 인천항 부근의 묘도포대, 제물포포대 등과 함께 화도진에 소속되었다가 1894년 화도진이 철폐되면서 폐쇄되었다. 당시 제작된 「화도진도」에는 2개의 포좌 앞으로 갯골수로가 흐르는 것이 확인되는데, 논현포대는 이 수로를 따라 침입하는 소형 선박을 방어할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짐작된다. 포대는 포좌의 아랫부분에 막돌을 깔고 중단과 상단에 장대석을 쌓았으며 그 위에 흙을 쌓아올린 형식이다. 포좌는 이동식 중포 2문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용 원고

An artillary post, called podae in Korean, was a military facility .... 해안 방어를 위해 대포를 설치했던 시설이다.

인천 연안은 한양으로 가는 뱃길이었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으며, 19세기 후반 외세의 침입이 빈번해지자 많은 포대가 설치되었다. 이 포대는 그 중의 하나로 1879년에 쌓은 것이다. 현재 포대는 모두 없어지고 논현포대만 남아있다.

논현포대는 인천항 부근에 있던 묘도포대, 제물포포대 등과 함께 화도진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1894년 화도진이 철폐되면서 폐쇄되었다. 원래 포좌가 몇 개였는지 모르지만 지금은 2개의 포좌가 남아 있다.


영문

An artillary post, called podae in Korean, was a military facility .... 해안 방어를 위해 대포를 설치했던 시설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