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Barracks of the People’s Army Command Headquarters, Hwacheon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영문명칭 Barracks of the People’s Army Command Headquarters, Hwacheon
한자 華川 人民軍司令部 幕舍
주소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361-1번지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일 2002년 5월 31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전쟁관련시설
수량/면적 1동 연면적 350㎡
웹사이트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는 1945년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지어질 당시에는 북한의 상징인 오각별이 중간에 새겨진 시멘트 기와로 지붕이 지어졌으나 현재는 슬레이트로 된 지붕이다. 벽체는 화강암을 다듬어 쌓아 견고하게 만들어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지금까지 건재하다.

이 건물은 한국 전쟁 시기에 인민군사령부의 막사로 쓰였으며 당시 인민군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군사 시설물이다. 한국 전쟁 정전 이후 우리 군(軍)이 창고, 군복 수선소 등의 용도로 건물을 썼으나 현재는 쓰지 않는다.

영문

Barracks of the People’s Army Command Headquarters, Hwacheon

This building is said to have been built in 1945 to serve as North Korea’s People’s Army Command Headquarter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Damok-ri Village, where the building is located, was under North Korea’s jurisdiction at the start of the war but became a part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Later, the building was used by the South Korean Army as a storehouse and a uniform repair shop.

The building’s roof was originally finished with cement roof tiles featuring pentagonal star designs, a state symbol of North Korea. Presently, it is finished with slate tiles. Its sturdy walls are made of hewn granite and remain in good condition.

영문 해설 내용

이 건물은 1945년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며, 한국전쟁 당시 북한 인민군 사령부의 막사로 쓰였다. 이 건물이 위치한 다목리는 원래 북한 지역에 속했지만, 정전협정 후 남한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이 건물은 한국군이 창고와 군복 수선소 등으로 쓰기도 하였다.

원래 이 건물은 북한의 상징인 오각별이 중간에 새겨진 시멘트 기와로 지붕이 지어졌다. 현재는 슬레이트로 된 지붕이다. 벽체는 화강암을 다듬어 견고하게 쌓았고 지금까지 건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