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당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성 당성
Dangseong Fortress, Hwaseong
화성 당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화성 당성
영문명칭 Dangseong Fortress, Hwaseong
한자 華城 唐城
주소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산32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217호
지정일 1971년 4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211,595㎡
웹사이트 화성 당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당성은 서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서신면 상안리의 해발 159m 구봉산 정상부와 그 서쪽에 발달된 능선에 쌓은 테뫼식*의 1차성과 구봉산 정상부와 그 동쪽의 능선 및 계곡을 포함하는 곳에 쌓은 포곡식**의 2차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1차성은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쌓았으며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 사용되었다. 평면은 동서로 긴 네모꼴에 가깝지만 성벽의 모서리 부분은 돌출된 모습이다. 성의 둘레는 약 610m, 내부 면적은 약 14,300㎡이다. 성벽은 암반을 ‘⨽’자로 깎아낸 후 네모꼴의 돌을 다듬어 수직에 가깝게 쌓아 올렸으며, 그 안쪽은 돌로 채워 넣었다. 원래 성벽의 최대 높이는 약 5~6m로 추정된다. 1차성 안에서는 여러 건물지와 집수지 등의 시설이 확인되었다. 주요 유물로는 성의 이름과 관련된 ‘당(唐)’자가 들어간 기와를 비롯하여 다수의 명문 기와, 토기와 도기가 출토되었으며 이 밖에 중국산 자기 등이 확인되었다.

2차성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중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협소한 1차성을 대체하기 위하여 쌓았으며 조선시대 초까지 사용되었다. 성의 평면은 네모꼴에 가까운데 그 둘레는 약 1,170m, 내부 면적은 약 72,600㎡이다. 최초 성벽은 바닥을 편평하게 만든 후 중심부에 돌을 일정하게 깔고 그 위로 흙을 다져 쌓은 후 그 안과 밖에 다시금 흙을 다져 덧붙였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최대 높이는 3m 정도이다. 성벽은 이후 고려시대에 이르러 최초 성벽의 일부를 잘라내고 돌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새롭게 쌓았다. 2차성에서는 서문지, 북문지, 동문지가 확인되었으며 성 안에서는 여러 건물지와 집수지, 연못지 등이 조사되었다. 출토된 유물로는 통일신라~조선시대에 속하는 다수의 기와와 도기가 있으며 중국계 자기 등이 일부 있다.

당성이 자리 잡은 곳은 처음에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고구려를 거쳐 신라가 점령하였다. 신라는 553년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당성을 쌓고 바닷길을 통해 중국의 당나라와 정치 · 외교 · 군사 및 문물 교류를 진행하였는데, 고려 초까지 대중국 교역의 중심지로 활용되었다.

당성은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에서 핵심적 전초 기지로 활용되었고, 서역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이어지는 문화 교류의 기착지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테뫼식(山頂式): 산 정상부만을 둘러쌓은 방식
  • 포곡식(包谷式): 산 정상부와 그 주변의 계곡부를 넓게 둘러쌓은 방식

영문

Dangseong Fortress, Hwaseong

Dangseong Fortress, located on Gubongsan Mountain (159 m above sea level) in Sangan-ri, Hwaseong, consists of a first-phase wall around the summit and western ridge overlooking the West Sea, as well as a second-phase wall around the summit and the eastern ridge and valley. Initially belonging to the territory of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this site was taken by the Goguryeo kingdom (37 BCE-668 CE) in the late 5th century and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in the mid-6th century. With Dangseong Fortress as a hub, Silla engaged in political, diplomatic, military, and cultural exchange with Tang China (618-907) by sea. The fortress remained a center of trade with China until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The first-phase fortress was built after Silla took control of the area in the mid-6th century and was used until the early Goryeo period. It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with projected corners oriented along an east-west axis, with a perimeter of about 610 m and an area of about 14,300 m². The wall is presumed to have originally measured up to about 5-6 m in height. It was constructed by carving the bedrock into an L-shape, stacking rectangular stone bricks in front to create a nearly vertical face, and then filling in the gap with stones. Discovered inside were several structural remains, including building sites and water basin sites, as well as artifacts, such as earthenware, ceramics, Chinese porcelain, and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including roof tiles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 of the fortress’s name.

The second-phase fortress was built after Silla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7th century and was used until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served to supplement the first-phase fortress, which had become too small as trade with China grew in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The fortress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perimeter of about 1,170 m and an area of about 72,600 m². The currently remaining wall measures up to about 3 m in height. It was initially constructed by leveling the ground, laying stone evenly in the center, covering it with packed earth, and then pack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with earth again. In the Goryeo period, parts of the wall were cut away to rebuild it vertically using stone. Discovered inside were several structural remains, including west, north, and east gate sites, building sites, water basin sites, and pond sites, as well as artifacts such as roof tiles and ceramics from the Unified Silla to Joseon periods, along with some Chinese porcelain.

Dangseong Fortress is a highly valued archaeological site due to its role as a key outpost during Silla’s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s a waypoint i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West, China, and Korea.

영문 해설 내용

당성은 화성 상안리의 구봉산(해발 159m) 정상부와 서해를 내려다보는 서쪽 능선에 쌓은 1차성과 구봉산 정상부와 동쪽의 능선 및 계곡을 둘러 쌓은 2차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당성이 자리 잡은 곳은 원래 삼국시대 백제의 영역이었는데, 5세기 후반 고구려가 차지하였다가, 6세기 중반 신라가 점령하게 되었다. 신라는 당성을 거점으로 하여 바닷길을 통해 중국의 당나라와 정치, 외교, 군사, 문물의 교류를 진행하였으며, 당성은 고려 초까지 대중국 교역의 중심지로 활용되었다.

1차성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6세기 중반에 쌓은 성으로 고려 초까지 사용되었다. 평면은 동서로 긴 네모꼴에 가깝고 성벽의 모서리 부분은 돌출된 모습이다. 성의 둘레는 약 610m, 내부 면적은 약 14,300㎡이며, 원래 성벽의 최대 높이는 약 5~6m로 추정된다. 성벽은 암반을 ‘⨽’자로 깎아낸 후 네모꼴의 돌을 다듬어 수직에 가깝게 쌓아 올렸으며, 그 안쪽은 돌로 채워 넣었다. 1차성 안에서는 여러 건물지와 집수지 등의 시설이 확인되었다. 주요 유물로는 성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가 새겨진 기와를 비롯하여 다수의 명문 기와, 토기와 도기, 중국산 자기 등이 출토되었다.

2차성은 7세기 후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쌓았으며 조선시대 초까지 사용되었다. 당시 2차성은 통일신라와 중국 사이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협소해진 1차성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였다. 성의 평면은 네모꼴에 가깝고 그 둘레는 약 1,170m, 내부 면적은 약 72,600㎡이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최대 높이는 3m 정도이다. 최초 성벽은 바닥을 편평하게 만든 후 중심부에 돌을 일정하게 깔고 그 위로 흙을 다져 쌓은 후 그 안과 밖에 다시금 흙을 다져 덧붙였다. 성벽은 이후 고려시대에 이르러 최초 성벽의 일부를 잘라내고 돌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새롭게 쌓았다. 2차성에서는 서문지, 북문지, 동문지가 확인되었으며 성 안에서는 여러 건물지와 집수지, 연못지 등이 조사되었다. 출토된 유물로는 통일신라~조선시대에 속하는 다수의 기와와 도기가 있으며 중국계 자기 등이 일부 있다.

당성은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에서 핵심적 전초 기지로 활용되었고, 서역에서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이어지는 문화 교류의 기착지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