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량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량무
Hallyangmu (Prodigal Man Dance)
한량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한량무
영문명칭 Hallyangmu (Prodigal Man Dance)
한자 閑良舞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 477-2(한량무보존회)
지정번호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지정일 1979년 5월 2일
분류 무형문화재
웹사이트 한량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량무는 한량*, 승려, 색시, 주모, 별감*, 마당쇠, 상좌* 등 일곱 명이 등장하여 추는 놀이 춤이다. 춤의 내용은 색시를 사이에 두고 한량, 승려, 별감이 사랑싸움을 벌이는 과정에서 지조(志操) 없이 놀아난 색시가 모두에게서 버림을 받고 오갈 데 없게 되는 내용이다.

한량무는 당시의 사회상을 빗대어 풍자하는 내용으로 말이 없이 추는 극춤(劇舞)이다.

춤사위는 한량의 고아한 춤사위, 승려의 파계춤사위, 별감의 남성적 기개를 나타내는 춤사위, 색시의 애교춤사위, 주모의 꽁닥춤사위, 마당쇠의 능글맞은 춤사위 등 다양하고 익살스러운 춤사위가 있다.

이러한 극춤은 현재까지 남아 있는 예가 드물어서 민속무용 연구자료로 가치가 있는 민속춤이다.


  • 한량 : 관직이 없는 양반을 일컫는 말인데 점차 변하여 돈 잘쓰고 놀고 먹는 사람을 빗대어 이르는 말.
  • 별감(別監) : 고려ㆍ조선 시대에, 조사ㆍ감독ㆍ취렴(取斂) 따위를 위하여 지방에 보내던 임시 벼슬
  • 상좌(上佐) : 스승의 대를 이을 여러 승려 가운데에서 가장 높은 사람을 이르는 말.

영문

Hallyangmu (Prodigal Man Dance)

The Prodigal Man Dance is a performance dance in nine acts with a total of seven characters. The entire story is conveyed through dance alone without any dialogue, and each character has their own distinctive dance style to convey their personality and motives.

The performance tells the story of a wanton nobleman who is enjoying his time with a woman when a Buddhist monk walks by and falls in love with the woman at first sight. The monk tries to win the woman’s favor through an impressive dance and is successful. The woman betrays the aristocrat and follows the monk. The story is a comedic satire of depraved noblemen, monks who break their vows, unprincipled women, and lazy government officials.

It is uncertain when this dance was first performed, but it is said to have been popular at female entertainer parlors, following the star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Within Korean dance tradition, the Prodigal Man Dance is a rare example of a silent dramatic performance.

영문 해설 내용

한량무는 총 7명이 등장하는 9마당으로 구성된 무용극이다. 작품 전체가 대사 없이 무용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각 등장인물은 개성이 넘치는 춤사위로 자신의 성격과 모티브를 전달한다.

이 작품은 주인공인 한량이 여인을 데리고 즐겁게 놀고 있을 때 지나가던 승려가 이 여인을 보고 한눈에 반하여 멋진 춤으로 환심을 사려고 한다. 이에 여인은 한량을 배신하고 승려에게 간다는 내용이다. 타락한 선비, 파계한 중, 지조 없는 여인, 게으른 관리 등 당대의 현실을 풍자하고 있다.

언제부터 공연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며, 일제강점기 초인 1910년 이후 기방에서 성행했다고 한다. 한국 전통춤 가운데 대사 없이 춤과 몸짓만으로 이루어진 흔치 않은 사례이다.

참고자료


  • 한량무는 서울·경기 지역과 경상 시역에 전승되는 극적 구성의 문화재 춤과 20세기 후반에 만들어져 남성 혼자 추는 홀춤이 있다. 경상도 지역의 한량무는 진주권번 계열이 네 명, 양산권번 계열이 일곱 명의 구성으로 극이 이루어진다
  • 진주 한량무는 본래 한량, 승려, 색시, 상좌가 중심이 되는 4인무로 조선 고종(재위 1863-1907) 때 궁중 무희였던 최순이(1892~1969)가 고향으로 돌아와 관청의 예기들에게 전승하였고, 1969년 진주권번의 ‘강귀례’에 의해 재연된 후 진주검무 회원들에게 전수되었다. 지금의 진주 한량무는 1979년에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김덕명(1924-2015)이 주모, 별감, 마당쇠를 추가해 7인무로 재구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