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평창 대하리 전통가옥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평창대하리전통가옥
평창 대하리 전통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평창대하리전통가옥
한자 平昌大下里傳統家屋
주소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대골길 32-1 (대하리)
지정번호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8호
지정일 2000년 1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곽
웹사이트 평창 대하리 전통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가옥의 건립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지금까지 13대 째 계속해서 살아왔다고 하며, 현재 건물은 1895년 경에 고쳐지은 것이다.

지붕의 망와에 ‘도광 을유(道光 乙酉)’라는 연대가 새겨져 있어서 1825년(순조 25)에 만들어진 기와를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옥의 배치는 ‘ㄱ’자의 안채를 중심으로 ‘ㅡ’자형의 바깥 사랑채와 곳간채로 구성된다.

팔각지붕의 안채는 우물마루[넓은 널을, 짧게 잘라 끼워놓은 마루]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안 사랑방과 안방·뒷방을 두었으며, 전면으로 툇마루[방이나 마루 바깥에 붙여 꾸민 좁은 마루]를 놓아 대청과 연결하였다. 안방에서 수직되게 부엌이 이어져 ‘ㄱ’자 형태의 안채를 완성하고 있다.

사랑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방 3칸을 두고 오른쪽으로는 마구간을 배치하였다.

부엌과 마주 보는 3칸의 곳간채는 벽체의 하부는 판 벽, 상부는 진흙 벽으로 일반 민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마루가 중앙에 있는 겹집 구조로, 영서지방의 전형적인 민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가옥은 우리나라 전통식 한옥 건물로서 세운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13대(代)가 계속 이어서 살고 있다고 한다. 여러 차례에 걸쳐서 고쳐 지었으며, 지금 있는 건물은 1895년 경에 고쳐 지은 것이다.

지붕 기와의 암막새에 ‘도광 을유(道光 乙酉)’라는 명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순조 25년(1825)에 만들어진 기와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물의 구성은 안채와 바깥 사랑채, 부속채 1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ㄱ’자형 평면구조를 이루고 있고, 바깥 사랑채는 ‘ㅡ’자형의 평면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오른쪽에는 마구간을 두었다. 지붕과 곳간채는 2002년 지금의 형태로 보수하였다.

평창지역 민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집으로 보존 가치가 크다.

1차 수정

대하리 전통 가옥은 평창 지역의 전통 민가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지금의 건물은 1895년 무렵에 고쳐 지었다. 현 소유주의 가족이 13대째 이어서 살고 있다고 한다.

집은 ‘ㄱ’자형 안채, ‘ㅡ’자형 사랑채, 부속채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 기와의 암막새에는 순조 25년(1825)을 나타내는 ‘도광 을유(道光 乙酉)’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때 만들어진 기와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안사랑방, 안방, 뒷방을 두었고 안방과 부엌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랑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방을 두고 오른쪽에는 마구간을 두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수정의견 없음.
  2. 분야별 자문위원 2
    • 대하리 전통 가옥은 평창 지역의 전통 민가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지금의 건물은 1895년 무렵에 고쳐 지었다. 현 소유주의 가족이 13대째 이어서 살고 있다고 한다. -> 대하리 전통 가옥은 평창 지역의 전통 민가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명확히 알 수 없고 지금의 건물은 1895년 무렵에 여러 차례 수리하여 다시 지은 것이다(중수의 개념으로 봐야함). 현 소유주의 가족이 13대째 이어서 살고 있다고 한다.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대하리 전통 가옥은 평창 지역의 전통 민가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지금의 건물은 1895년 무렵에 고쳐 지었다. 현 소유주의 가족이 13대째 이어서 살고 있다고 한다. 지붕 기와의 암막새에는 순조 25년(1825)을 나타내는 ‘도광 을유(道光 乙酉)’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때 만들어진 기와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팔작지붕의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안 사랑방과 안방·뒷방을 두었으며, 전면으로 툇마루[방이나 마루 바깥에 꾸민 좁은 마루]를 놓아 대청과 연결하였다. 안방에서 수직되게 부엌이 이어져 ‘ㄱ’자 형태의 안채를 완성하고 있다.
      사랑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방 3칸을 두고 오른쪽으로는 마구간을 배치하였다. 부엌과 마주 보는 3칸의 곳간채는 벽체의 하부는 판 멱, 상부는 진흙 벽으로 일반 민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마루가 중앙에 있는 겹집 구조로, 영서지방의 전형적인 민가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2차 수정

대하리 전통 가옥은 평창 지역의 전통 민가이다. 현 소유주의 가족이 13대째 이어서 살고 있다고 한다. 처음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지금의 건물은 1895년 무렵에 고쳐 지었다. 지붕 기와의 암막새에는 순조 25년(1825)을 나타내는 ‘도광 을유(道光 乙酉)’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때 만들어진 기와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은 ‘ㄱ’자형 안채, ‘ㅡ’자형 사랑채, 곳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팔작지붕의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안사랑방, 안방, 뒷방을 두었고 안방과 부엌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랑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방을 두고 오른쪽에는 마구간을 두었다. 곳간채 벽의 아랫부분은 판자로 윗부분은 진흙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일반 민가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