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이색 선생 묘 일원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1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목은(牧隱) 이색 선생(1328-1396)은 고려 말 그의 문하 포은(圃隱) 정몽주, 야은(冶隱) 길재()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목은 선생은 가정 이곡 선생과 함창김씨 사이에서 1328년 경북 영덕군 영해읍 괴시리 호지마을에서 태어났다. 1341년 진사(進士)가 되고, 1348년(충목왕4) 원나라에 가서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1352년(공민왕1) 전제(田制)개혁, 국방개혁, 교육의 진흥, 불교의 억제 등 건의문을 올린 바 있다.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성리학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1381년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졌다. 1388년(우왕 원년)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1389년(공민왕1)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우왕이 강화로 쫓겨나자 창왕(昌王)을 옹립, 즉위하게 하였다. 이 해에 이성계 일파가 세력을 잡자 장단(長湍), 함창, 청주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1395년(태조4)에 한산벽()에 봉해지고 이성계의 출사(出仕) 종용이 있었으나 끝내 고사하고 이듬해 경기도 여주군 여강(驪江)으로 가던 도중 향년 69세에 세상을 떠났다. 이에 선생은 무학대사가 정한 기산면 기린봉 아래 가지현에 묻혔다. 이곳은 풍수적으로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이라고 한다 이색 선생의 묘는 원형이고 묘비가 있다. 묘 앞에는 망주석, 문인석, 석마상이 각각 2개씩 양쪽에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색 선생 묘 일원은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인 이색(李穡, 1328~1396)의 묘와 그 일대의 유적을 총칭하는 말이다. 이색은 고려후기의 학자이자 원나라의 수도 연경(燕京)에 있는 만권당(萬卷堂)에서 유학한 것으로 유명한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의 제자이다. 또한 조선 건국을 둘러싸고 대립한 것으로 유명한 온건개혁파인 정몽주(鄭夢周, 1337~1392)와 급진개혁파인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의 스승이다. 조선 건국 후 고려시대의 충신들은 조선의 조정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하였는데 가장 유명한 세 사람인 삼은(三隱) 중의 하나인 목은(牧隱)이 바로 이색이다. 이색의 묘는 원형으로 무덤 앞에는 상석(上席)·망주석(望柱石) 2기·문인상(文人像) 2기·마상(馬像) 2기가 있으며 상석의 오른편에 세워진 비석 앞면에는 '목은선생 이색지묘(牧隱先生 李穡之墓)'라고 씌여져 있다. 이 비석은 이색의 묘표는 1433년 손자 맹균(孟畇)이 찬했고, 목은 배위인 안동권씨 묘비는 1404년 권근(權近)이 지었으며, 신도비는 하륜(河崙)이 지었고 공부(孔俯)가 썼으며, 음기(陰記)는 송시열(宋時烈)이 지었고, 12대손 수경(壽慶)이 쓰고 김수항(金壽恒)이 전(篆)을 하였고 1666년(현종 7) 후손 등이 건립한 것이다. 이색의 묘자리는 풍수지리에 의하면 기린하전(麒麟下田)에 해당하는 것으로 무학대사가 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묘 일원의 건물에는 사우(祠宇), 강당, 진수당, 목은영당(牧隱影堂), 재실(齋室), 전사청, 수호사(守護舍), 내삼문, 외삼문, 이색신도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127), 이종덕효행비각 등이 있다. 사우는 3칸이며, 이색과 이곡(李穀)을 주벽으로 이종학, 이자, 이개, 이종덕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재실인 진수당은 4칸이며, 유림의 화합이나 학문 토론을 위한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3칸의 진사청은 제구(祭具)를 보관하고 있고, 수호사는 관리인의 숙소로 사용한다. 목은영당은 1710년(숙종 36)에 지어졌으며, 이색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1차 수정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의 묘이다.

이색은 오늘날의 경상북도 영덕 출신으로, 공민왕 2년(1353)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고려 공민왕의 개혁부터 조선의 건국까지 격동의 시대를 관통하며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킨 것으로 유명하다. 여러 요직을 두루 거치며 최고의 재상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자로도 이름을 떨쳐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권근(權近, 1352~1409) 등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냈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정에 머물라는 이성계의 권유를 끝내 거절하고 낙향하던 중 여주 신륵사에 머물다 생을 마쳤다. 이색의 셋째 아들인 이종선(李種善, 1368~1438)이 한산이씨 문중 묘역이 있는 이곳으로 모셔와 장사 지냈다.

이색의 묘가 자리한 곳은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으로,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풍수의 대가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점지한 자리라고 한다.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이 있고, 망주석, 문인상, 석마가 각각 2기씩 있다. 상석 오른쪽에는 ‘목은선생 이색지묘(牧隱先生 李穡之墓)’라고 쓴 묘표가 세워져 있다.

묘역의 남동쪽에는 이색을 기리기 위해 현종 7년(1666)에 세운 신도비가 있고, 이색을 비롯한 한산이씨의 선현들을 모신 문헌서원이 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의 묘이다.

이색은 오늘날의 경상북도 영덕 출신으로, 공민왕 2년(1353)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고려 공민왕의 개혁부터 조선의 건국까지 격동의 시대를 관통하며 끝까 지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킨 것으로 유명하다. 여러 요직을 두루 거치며 최고의 재상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자로도 이름을 떨쳐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권근(權近,1352~1409) 등 뛰어난 제자를들을 길러냈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정에 머물라는 이성계의 권유를 끝내 거절하고 낙향하던 중 여주 신륵사에 머물다 생 을 마쳤다. 이색의 셋째 아들인 이종선(李種善, 1368~1438)이 한산 이씨 문중 묘역이 있는 이 곳으로 모셔와 장사 지냈다. 이색의 묘가 자리한 곳은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으로,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풍수의 대가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점지한 자리라고 한다.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이 있고, 망주석, 문석인문인상, 석마가 각각 2기씩 있다. 상석 오른쪽에는 ‘목은선생 이색지묘(牧隱先生 李穡之墓)’라고 쓴 묘 표가 세워져 있다. 묘역의 남동쪽에는 이색을 기리기 위해 현종 7년(1666)에 세운 신도비가 있고, 이색을 비롯한 한산 이씨의 선현을 모신 문헌서원이 있다.

  1. 분야별 자문위원 2
    •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의 묘이다.

이색은 경상북도 영덕 출신으로, 공민왕 2년(1353)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고려 공민왕의 개혁부터 조선의 건국까지 격동의 시대를 관통하며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킨 충신으로 유명하다. 여러 요직을 두루 거처 최고의 재상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자로도 이름을 떨쳐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권근(權近, 1352~1409) 등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냈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정에 머물라는 이성계의 권유를 끝내 거절하고 낙향하던 중 여주 신륵사에 머물다 생을 마쳤다. 이색의 셋째 아들인 이종선(李種善, 1368~1438)이 한산이씨 문중 묘역이 있는 이곳으로 모셔와 장사 지냈다. 이색의 묘가 자리한 곳은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으로,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풍수의 대가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점지한 자리라고 한다.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이 있고, 망주석, 문인상, 석마가 각각 2기씩 있다. 상석 오른쪽에는 ‘목은선생 이색지묘(牧隱先生 李穡之墓)’라고 쓴 묘표가 세워져 있다. 묘역의 남동쪽에는 이색을 기리기 위해 현종 7년(1666)에 세운 신도비가 있고, 이색을 비롯한 한산이씨의 선현들을 모신 문헌서원이 있다.

  1.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이색의 묘가 자리한 곳은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으로,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풍수의 대가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점지한 자리라고 한다.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이 있고, 망주석, 문인상, 석마가 각각 2기씩 있다. 상석 오른쪽에는 ‘목은선생 이색지묘(牧隱先生 李穡之墓)’라고 쓴 묘표가 세워져 있다.
    • 오류사항지적: 위 강조 표시 문장이 길다. 두 문장으로
    • 수정내용제시: 이색의 묘가 자리한 곳은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이다.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풍수의 대가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점지한 자리라고 한다.

2차 수정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의 묘이다.

이색은 경상북도 영덕 출신으로, 공민왕 2년(1353)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고려 공민왕의 개혁부터 조선의 건국까지 격동의 시대를 관통하며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킨 것으로 유명하다.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쳐 최고의 재상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자로도 이름을 떨쳐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권근(權近, 1352~1409) 등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냈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정에 머물라는 이성계의 권유를 끝내 거절하고 낙향하던 중 여주 신륵사에 머물다 생을 마쳤다. 이색의 셋째 아들인 이종선(李種善, 1368~1438)이 한산이씨 문중 묘역이 있는 이곳으로 모셔와 장사 지냈다.

이색의 묘가 자리한 곳은 기린이 아래로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이다.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풍수의 대가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점지한 자리라고 한다.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이 있고, 망주석, 문인상, 석마가 각각 2기씩 있다. 상석 오른쪽에는 ‘목은선생 이색지묘(牧隱先生 李穡之墓)’라고 쓴 묘표가 세워져 있다.

묘역의 남동쪽에는 이색을 기리기 위해 현종 7년(1666)에 세운 신도비가 있고, 이색을 비롯한 한산이씨의 선현을 모신 문헌서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