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안동 한천정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한중연 안내문안 작성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이 건물은 조성당(操省堂) 김택룡(金澤龍, 1547-1627)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과 제자, 지역 유림이 정조 10년(1786년)에 건립하였다. 기존에 그의 위패를 모시고 사당 역할을 하던 한천사(寒泉祠)를 훼철하고 이 건물을 사당과 정사의 용도로 사용하였으며, 1910년 현재 위치로 옮겼다.

김택룡은 이황(1501-1570)의 제자인 조목(1524-1606)의 문인이다. 조목의 죽자 그를 도산서원에 종향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588년(선조 21)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임진왜란 때는 왜적을 무찌르고 선조를 호가하는 등의 공이 인정되어 선무(宣撫) 2등의 훈작을 받았다. 전쟁 이후 농경을 장려해 백성을 정착하도록 하고, 향촌 교화와 후진 양성 등 지역의 주요 인물로 꼽힌다.

한천정사의 이름은 󰡔주자연보(朱子年譜)󰡕의 기록에 주희(朱熹)가 그의 모친상을 당하여 묘소 근처에 한천정사를 지어 머물렀던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 주희는 한천정사에서 머물며 여조겸(呂祖謙)과 함께 󰡔근사록(近思錄)󰡕을 편찬하기도 하였으니 그의 학덕을 기리는 의미로 붙인 것이다.

1차 수정

한천정사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김택룡(金澤龍, 1547~1627)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과 제자, 지역 유림이 1786년에 건립하였다.

김택룡은 조목(趙穆, 1524~1606)과 이황(李滉, 1502~1570)의 제자로, 1588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농경을 장려해 백성을 정착시키는 데 힘썼고, 향촌 교화와 후진 양성 등에 주력하였다.

원래 이 건물은 김택룡의 위패를 모신 한천사(寒泉祠)라는 사당에 있었다. 그러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이 훼손된 후, 1910년 이 건물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위패를 모시는 사당과 교육공간인 정사 두 가지 용도로 사용하였다. 한천정사의 이름은 주희(朱熹)가 모친상을 당한 후 묘소 근처에 한천정사를 지어 머물렀다는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