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신말주 선생의 십로계첩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이 화첩은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 1429~1503)선생이 이곳 순창에 낙향하여 은거생활을 하면서 뜻을 같이 하는 70세가 넘은 이윤철(李允哲), 설산옥(薛山玉), 장조평(張肇平), 조윤옥(趙潤屋) 등 10명의 노인들과 중국의 향산구로회(香山九老會)를 본떠 십로계(十老契)를 결성하였는데, 합 첩씩 계첩(契帖)을 1499년 봄에 제작하여 각기 나눠 가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신말주 본(本) 한 첩만 전하고 있다. 계회의 목적 등을 적은 서문과 함께 인물도(人物圖)의 배경은 소나무, 시녀, 바위 등 최소한으로 구성하였고, 인물도 우측 상단에는 각 인물의 생활, 인격, 사상들을 읊은 4행의 시가 적혀 있다. 특히 계회도(契會圖)로서는 제작 시기가 오래되었으며, 16세기 산수화 위주인 궁중의 계회도와 달리 문인들의 사적인 계회를 그린 기록화라는 점에서 회화사적 가치가 있다. 한편 1790년에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가 「십로계첩」을 모사하여 그린 「십로도상도(十老圖像圖)」가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화첩은 조선 전기 문신인 신말주(申末舟, 1429~1503)가 노년에 조직한 십로계(十老契)에 관한 사항을 정리하여 1499년에 제작한 화첩이다.

그는 1454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대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70세가 되던 1498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부인 설씨의 고향인 순창으로 귀향하였다. 그는 1470년에 그의 호를 따서 이름을 지은 “귀래정(歸來亭)”이라는 정자에서 본인을 포함한 70세가 넘은 노인 10명과 계회를 맺어 “십로계”라 이름 하였다. 십로계첩(十老契帖)은 계를 맺은 연유와 목적, 성격, 행동 등을 기록하고 각각의 인물도를 그린 후 각 개인의 성품과 사상, 교훈적인 절구시를 첨부한 것이다.

이 화첩은 10벌을 만들어 각자 소유하였으나 그 가운데 신말주 본인의 것만 전해진다. 한 장에 인물 한 명을 배치하고 기물이나 배경은 소나무, 시녀, 바위 등으로 최소화하였다. 화면 상단에는 각 인물의 생활·인격·사상 등을 읊은 4행의 시를 적었다. 산수화 위주에 계회 장면을 작게 표현한 16세기 궁중의 계회도(契會圖)와는 달리 인물 위주로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이 화첩은 계회도로는 제작 시기가 이른 것에 속하고 궁중의 공식적인 모임인 계회도가 아닌 문인들의 사적인 계회를 그린 기록화라는 점에서 회화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이며, 당시 노인들의 근세적 생활과 사상, 당대의 정치·사회·풍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1차 수정

조선 전기 문신인 신말주(申末舟, 1429~1503)가 노년에 조직한 십로계(十老契)에 관한 사항을 정리하여 1499년에 제작한 화첩이다.

신말주는 1454년 과거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1498년 70세의 나이로 은퇴한 후에는 부인의 고향인 순창으로 낙향하였다. 이듬해인 1499년에는 자신의 정자인 귀래정에서 70세 이상의 노인 9명과 함께 계를 결성하고 ‘십로계’라고 하였다.

십로계의 결성을 기념하기 위하여, 신말주는 직접 그린 그림과 시 10점을 모아 이 화첩을 만들었다. 계의 참여한 노인 10명의 인물도를 그리고 각 인물의 성품과 사상을 읊은 시를 적었으며, 서문에는 계를 맺은 연유와 목적 등을 기록하였다. 화첩은 10벌을 만들어 각자 소유하였다고 하나, 신말주 본인의 것만 전해진다.

문인들의 친목 모임을 기록한 이러한 계회도는 주로 16세기 이후에 유행하였으며, 십로계첩은 계회도로는 제작 시기가 이른 것에 속한다. 또한 궁중의 공식적인 모임이 아닌 문인들의 사적인 모임을 그린 기록화라는 점에서 회화사적 가치가 높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조선 전기 문신 신말주(申末舟, 1429~1503, 본관; 고령)는 세조의 집권에 반대하고, 부인의 고향인 순창에 내려와 귀래정을 짓고 은둔 생활을 하였다. 말년에 귀래정에서 70세 넘은 노인 이윤철(李允哲)·안정(安正)·김박(金博)·한승유(韓承愈)·설산옥(薛山玉)·설존의(薛存義)·오유경(吳惟敬)·조윤옥(趙潤屋)·장조평(張肇平) 등 9인과 더불어 십노계(十老契)라는 계회를 조직했다.
    • 십로계 결성을 기념하여, 직접 그린 그림과 시 10점을 모아 화첩을 만들었다. 한 장에 한 인물을 그리고, 소나무·시녀·바위 등 배경은 최소화 하였다. 화면 상단에는 각 인물의 생활·인격·사상 등을 읊은 4행 시를 적었고, 서문에는 계를 맺은 이유와 목적 등을 기록하였다. 계원 10명이 각기 한 첩씩 계첩을 제작하여 소장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는 신말주 소장본만 전해진다.
    • 문인들의 친목 모임을 기록한 계회도는 주로 16세기 이후에 유행하였는데, 십로계첩은 제작 시기가 빠른 것에 속한다. 궁중의 공식적인 모임인 계회도가 아닌 문인들의 사적인 모임을 그린 기록화라는 점에서 회화사적 가치가 높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 계의 참여한 노인 → 계에 참여한 노인
  3. 읽기쉬운문안 자문위원
    • 마지막 문단에서 ‘십로계첩은 계회도로는 제작 시기가 이른 것에 속한다’는 ‘십로계첩은 그보다 앞서 제작됐다’로 바꾸는 것이 나을 듯 합니다.
    • 마지막 문장의 ‘또한’은 없어도 무방

2차 수정

조선 전기 문신인 신말주(申末舟, 1429~1503)가 노년에 조직한 십로계(十老契)에 관한 사항을 정리하여 1499년에 제작한 화첩이다.

신말주는 1454년 과거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1498년 70세의 나이로 은퇴한 후에는 부인의 고향인 순창으로 낙향하였다. 이듬해인 1499년에는 자신의 정자인 귀래정에서 본인을 포함한 70세 이상의 노인 10명이 함께 계를 결성하고 ‘십로계’라고 하였다.

십로계의 결성을 기념하기 위하여, 신말주는 직접 그린 그림과 시 10점을 모아 이 화첩을 만들었다. 계에 참여한 노인 10명의 인물도를 그리고 각 인물의 성품과 사상을 읊은 시를 적었으며, 서문에는 계를 맺은 연유와 목적 등을 기록하였다. 계원 10명이 각기 하나씩 화첩을 소장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는 신말주 소장본만 전해진다.

문인들의 친목 모임을 기록한 계회도는 주로 16세기 이후에 유행하였는데, 십로계첩은 그보다 앞서 제작되었다. 궁중의 공식적인 모임이 아닌 문인들의 사적인 모임을 그린 기록화라는 점에서 회화사적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