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남해 운대암 제석신중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1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제석천(帝釋天)과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9명의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과 위태천은 각각 신들의 왕인 인드라(Indra)와 군신(軍神)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이 불화는 조선 순조 원년(1801)에 조성되었으며, 그림 아래쪽의 기록이 일부 손실되어 누구에 의해 그려졌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화면은 상하로 이분되어 있으며, 등장인물들이 모두 서서 향우측을 향하고 있다. 상단에는 합장한 제석천이 천자와 천녀·동자를 거느리고 나아가는 모습이며, 하단에는 합장한 위태천이 용왕과 신중 등 3위의 권속과 함께 서 있는 모습이다.

녹색과 짙은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고 부분적으로 금박을 활용하였으나, 시간이 흘러 종이가 긁히거나 깎여서 떨어진 부분이 많고, 안료가 변색되고 색이 바래서 화면이 어두운 편이다.

그렇지만 이 불화는 그림 속 인물들이 서 있는 자세로 움직이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기존의 제석천도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도상은 중국 명나라 때의 벽화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17세기 이후 우리나라에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 어느 전각에 있는지 확인 필요함.
  • 명나라 벽화의 도상이 수용된 것이라고 하는데, 언제인지는 명시되어 있지 않음. 명나라 숭정제가 자결한 시기가 1644년이므로 수용 시점을 17세기 이후로 비정하여 적었으나, 확인 필요함.(수용 시점은 확실하지 않은 내용이므로 삭제해도 무방)

1차 수정

운대암 제석신중탱은 제석천과 위태천을 중심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여러 신인 신중(神衆)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로, 조선 순조 원년(1801)에 조성되었다. 제석천과 위태천은 각각 인도 고대 신화의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를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화면은 상하로 나뉘어 있으며, 등장인물들이 모두 서서 향우측을 향하고 있다. 상단에는 합장한 제석천이 천자와 천녀·동자를 거느리고 나아가는 모습이며, 하단에는 합장한 위태천이 용왕과 신중 등 3위의 권속과 함께 서 있는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짙은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금박을 활용하여 선명함을 살렸다. 그러나 안료가 변색되어 원래의 색조보다 퇴색된 상태이며, 종이가 긁히거나 깎여서 떨어진 부분이 많다. 화면 하단에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기록한 화기(畵記)도 일부 손실된 상태이지만, 제작연대를 뚜렷하게 알 수 있어 조선시대 신중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여러 신인 신중(神衆)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로, -> 여러 신들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로서
    • 각각 인도 고대 신화의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 각각 고대 인도의 신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 종이가 긁히거나 깎여서 -> 종이가 긁히거나 꺽여서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제석신중탱 帝釋神衆幀->제석신중도 帝釋神衆圖
    • 운대암 제석신중탱은-> 운대암 제석신중도는
    • 원년(1801)에 조성되었다.-> 원년(1801)에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활동한 화승 태영(泰榮)·금현(錦現)·서주(瑞珠) 등에 의해 조성되었다.
    • 화면은 상하로 나뉘어 있으며, 등장인물들이 모두 서서 향우측을 향하고 있다.->운대암 제석신중도의 화면은 상하로 나뉘어 있으며 등장인물들은 모두 향 우측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으로 서 있는 형태이다.
    • 조선시대 신중상 연구-> 조선후기 신중도상 연구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이해하기 쉽게 문장 순서 변경. 향우측이라는 말이 쉽지 않아서.. 크게 중요한 의미가 없다면 ‘등장인물들이 모두 서서 향우측을 향하고 있다’는 빼도 무방할 듯)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여러 신들인 ‘신중(神衆)’과 그 권속들을 그린 군중도 형식의 탱화(벽에 거는 불화)로, 조선 순조 원년(1801)에 조성되었다.
      화면은 상하로 나뉘어 있으며, 등장인물들이 모두 서서 향우측을 향하고 있다. 상단에는 합장한 제석천이 천자와 천녀·동자를 거느리고 나아가는 모습이며, 하단에는 합장한 위태천이 용왕과 신중 등 3위의 권속과 함께 서 있는 모습이다.
      제석천과 위태천은 각각 인도 고대 신화의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를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짙은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금박을 활용하여 선명함을 살렸다. 그러나 안료가 변색되어 원래의 색조보다 퇴색된 상태이며, 종이가 긁히거나 깎여서 떨어진 부분이 많다. 화면 하단에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기록한 화기(畵記)도 일부 손실된 상태이지만, 제작연대를 뚜렷하게 알 수 있어 조선시대 신중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2차 수정

운대암 제석신중탱은 제석천과 위태천을 중심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여러 신들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조선 순조 원년(1801)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활동한 화승 태영(泰榮)·금현(錦現)·서주(瑞珠) 등에 의해 조성되었다. 제석천과 위태천은 각각 고대 인도의 신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를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화면은 상하로 나뉘어 있으며, 등장인물들은 모두 우측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으로 서 있는 형태이다. 상단에는 합장한 제석천이 천자와 천녀·동자를 거느리고 있으며, 하단에는 합장한 위태천이 용왕과 신중 등 3위의 권속과 함께 서 있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짙은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금박을 활용하여 선명함을 살렸다. 그러나 안료가 변색되어 원래의 색조보다 퇴색된 상태이며, 종이가 긁히거나 깎여서 떨어진 부분이 많다. 화면 하단에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기록한 화기(畵記)도 일부 손실된 상태이지만, 제작연대를 뚜렷하게 알 수 있어 조선시대 신중 도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지자체 감수결과

운대암 제석신중탱은 제석천과 위태천을 중심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여러 신들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조선 순조 원년(1801)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활동한 화승 태영(泰榮)·금현(錦現)·서주(瑞珠) 등에 의해 조성되었다. 제석천과 위태천은 각각 고대 인도의 신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를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화면은 상하로 구분되며, 등장인물들은 모두 서서 우측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다. 상단에는 합장한 제석천이 천자와 천녀·동자를 거느리고 있으며, 하단에는 합장한 위태천이 용왕과 신중 등 3위의 권속과 함께 서 있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짙은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금박을 활용하여 선명함을 살렸다. 그러나 안료의 변색으로 원래보다 퇴색된 상태이며, 종이가 긁히거나 깎여서 떨어진 부분이 많다. 화면 하단의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기록한 화기(畵記)도 일부 손실된 상태이다.

이 같은 여럿이 줄지어 가는 듯한 모습의 제석천은 중국 명대 벽화에서 보이는 것으로 조선시대 우리나라에 수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 신중 도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공공언어 감수결과

운대암 제석신중탱은 제석천과 위태천*을 중심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여러 신들과 그 권속**을 그린 탱화이다. 이 그림은 조선 순조 원년(1801)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활동한 화승 태영(泰榮)·금현(錦現)·서주(瑞珠) 등이 그렸다.

그림은 위와 아래로 구분되며, 등장인물들은 모두 오른쪽을 향해 걸어가는 모습이다. 위쪽에는 합장한 제석천이 천자와 천녀·동자를 거느리고 있으며, 아래쪽에는 합장한 위태천이 용왕과 신중 등 3위의 권속과 함께 서 있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짙은 붉은색을 사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금박을 활용하여 선명함을 살렸다. 현재는 원래의 빛깔과 색이 바랜 상태이며, 종이가 긁히거나 삭아서 떨어진 부분이 많다. 그림 아래쪽의 제작 연대와 제작자를 기록한 부분도 일부 소실된 상태이다.

그림에서 여럿이 줄지어 가는 듯한 모습의 제석천은 중국 명대 벽화에서 보이는 장면으로, 이를 조선 시대에 받아들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남해 운대암 제석신중탱은 조선 시대의 신중 도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제석천, 위태천: 고대 인도의 신 인드라(Indra)와 스칸다(Skanda)에서 각각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를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 권속: 하나의 신이 거느리는 구성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