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상당산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주 상당산성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청주 상당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청주 상당산성
영문명칭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한자 淸州 上黨山城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산28-2
지정번호 사적 제212호
지정일 1970년 10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936,574㎡
웹사이트 청주 상당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성은 적의 침입에 대비해 전투에 유리한 산을 이용하여 쌓은 성을 말한다. 상당산성은 청주시 동쪽에 솟은 상당산을 감싸는 포곡식산성*으로, 돌로 쌓은 성벽의 둘레가 4.25km에 달한다. 현재 상당산성은 동문·서문·남문의 3개 문과 2개의 암문(暗門)**, 치성(雉城)*** 3개소, 수구(水口)**** 3개소가 남아 있다.

산성이 처음 건축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상당’이라는 이름은 백제 시대 청주의 지명인 상당현(上黨縣)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유신의 아들 김원정이 쌓은 서원술성(西原述城)과 연계하여 통일신라 초기에 건축되었다는 설도 있다.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은 조선 시대로, 선조 29년(1596) 임진왜란 중 원균이 산성을 급히 고쳐 쌓았으며, 숙종 42년(1716)부터 영조 23년(1747)까지 대대적인 수리와 복원이 진행되었다. 청주읍성에는 충청도의 군사 책임자인 병마절도사(兵馬節制使)*****가 머물고, 상당산성에는 종3품의 무관 병마우후(兵馬虞候)******가 3,500여 명의 병사와 함께 머물며 청주읍성의 배후를 방어하였다.

성안에는 병마우후가 근무했던 관아 건물을 비롯하여 포루, 군기고 등 300칸이 넘는 건물들이 있었으며, 성을 유지 보수하는 승병(僧兵)을 위한 사찰도 있었다. 당시 상당산성의 모습은 영조 40년(1764)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구례 운조루 소장 〈상당산성도〉를 통해 상세히 알 수 있다.

상당산성은 영호남과 서울로 통하는 통로를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통일신라 이후 석축산성 문화의 기술적 총체를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포곡식산성(包谷式山城): 성벽이 계곡을 감싸며 산지의 능선을 따라 축조하는 성.
  • 암문: 성벽에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만들어 놓은 문. 평소에는 돌로 막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비상구로 사용한다.
  • 치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 수구: 성벽 위에 흐르는 물을 흘려 내보내는 곳
  • 병마절도사: 조선 시대, 각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고 경비를 담당하던 종2품 무관직
  • 병마우후: 조선 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를 보좌하는 종3품 외관직

영문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Sangdangsanseong Fortress stretches around the summit and several valleys of Sangdangsan Mountain (491.2 m above sea level) located to the east of Cheongju. It is unknown when exactly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but its name is presumed to originate from Sangdang-hyeon, the name of the Cheongju area during the Silla period (57 BCE-935 CE). The fortress provides a nice view of central Cheongju to the west and the plains Mihocheon and Jeungpyeong to the north.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it was a strategically important stronghold protecting the paths between Jeolla-do, Gyeongsang-do, and capital regions.

Part of the fortress was rebuilt in 1596 amidst the Japanese invasions by the army commander Won Gyun (1540-1597). After the war with the Japanese, the military importance of this fortress was brought to attention again, and between the years 1716 and 1747, it underwent a series of renovations. While the office of the regional army commander was stationed in Cheongjueupseong Walled Town, Sangdangsanseong Fortress was managed by the vice regional army commander, and so its function was to protect the former. The buildings inside the fortress at the time included a vice regional army commander’s office, bastion pavilions, an armory, and three Buddhist temples that housed the soldier-monks who maintained and repaired the fortress walls.

The fortress measures 4.25 km in perimeter. Gates were built in the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sections of the wall. The eastern and the western sections also had secret entrances. Beginning in the 1970s, a number of excavations took place which confirmed the existence of several building sites, three drainage outlets, three bastions, and other structural remai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astern and southern gate pavilions were reconstructed between 1977 and 1978, and the eastern and western command posts were built anew in 1992 and 2014, respectively.

영문 해설 내용

상당산성은 청주 동쪽의 상당산(해발 491.2m) 정상부와 주변 골짜기를 둘러 쌓은 석성이다. 이 산성이 처음 건축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성의 이름인 ‘상당’은 삼국시대 때 청주의 지명인 상당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쪽으로 청주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고, 북쪽으로는 미호천평야와 증평평야까지 조망이 가능한 자리에 위치하였으며, 전라도, 경상도와 서울 사이의 통로를 방어하는 전략적인 요충지이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 중이던 1596년 전라도 병마절도사 원균(1540-1597)이 성벽 일부를 고쳐 쌓았다. 전쟁이 끝난 후 상당산성의 군사적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으며, 1716년부터 1747년까지 몇 차례의 대대적인 개·보수가 이루어졌다. 청주읍성에는 충청도 병마절도사가 머물고, 상당산성에는 병마절도사를 보좌하는 병마우후가 머물며 산성을 운영하고, 청주읍성의 배후를 방어하였다. 당시 성 안에는 병마우후가 근무하는 관아 건물을 비롯하여 포루, 군기고 등 여러 건물이 있었으며, 성을 유지, 보수하는 승병들이 머무는 사찰도 3곳 있었다.

성벽의 둘레는 4.25km에 달한다. 성의 동쪽, 서쪽, 남쪽에 성문을 냈고, 동북쪽과 서남쪽에서는 암문도 확인되었다. 1970년대부터 발굴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여러 건물지, 수구 3곳, 치성 3곳 등 다양한 시설의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동문 문루와 남문 문루를 다시 지었고, 1992년과 2014년에는 각각 동쪽과 서쪽 장대를 다시 지었다.

갤러리

참고자료

  • 청주의 옛이름을 단 상당산성, 지역N문화 역사문화유산, https://ncms.nculture.org/castle-road/story/2254 -> 청주 시내의 북부에서 동쪽을 바라보면 산 위의 8부 능선을 타고 사행하는 서벽이 올려다 보인다. 이 산성은 1716년(숙종 4) 돌로 고쳐쌓고, 그 후 몇 차례에 걸쳐 증축, 보축, 개건한 석성이다. 이 산성은 상당산의 8부 능선에서 시작하여, 성안의 골짜기에 주요시설인 운주헌, 관아사, 군기고, 군향고, 동·서창 등이 있었다. 이 골짜기를 감싸고 있는 서쪽의 연맥과 동쪽 지맥의 등성이를 타고 사행하다가 남동의 수구를 향하여 꺾여서 합쳐져 있다.임진왜란 중인 1596년(선조 29)에 수축된 이후, 1716년(숙종 42)에서 1719년까지 충청도병마절도사 유성추의 감독으로 대대적인 성벽개축이 이루어졌고, 이듬해 성내에 구룡사와 남악사의 2개 사찰과 암문이 마련되었는데 이것은 성문 무사석의 기록에 남아 있다. 그 후 여러 번의 수축이 이루어져 성내의 여러 시설인 관아사, 군기고, 창고, 수구, 장대, 포루 등이 완성되었다.
  • 청주의 영원한 지킴이 청주 상당산성과 것대봉수, 디지털청주문화대전 http://cheongju.grandculture.net/cheongju/toc/GC00202410 -> 청주 상당산성은 1970년대부터 꾸준한 발굴조사와 복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청주대학교 이원근 교수와 충북대학교 박물관은 각각 1978년과 1982년에 지표조사를 하였는데, 모두 간략한 조사에 그쳤다. 본격적인 발굴 조사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 시작되었다. 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는 1994년에 동장대의 옛터를 시굴 조사하여 보화정을 복원하였으며, 1995년도에는 발굴조사를 통해 서장대의 규모와 위치가 확인되었다. 2000년에도 성벽보수구간을 중심으로 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그와 동시에 산성 복원도 꾸준히 이루어져 어느 정도 조선시대의 산성 원형을 되찾을 수 있었다. 2002년에는 청주시의 의뢰를 받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북벽의 수구에서 미호문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 결과 미호문 밖 고석축을 포함한 성벽구간, 옛 산성으로 추정되는 성벽과 북벽 수구의 집수시설, 건물지 2개소가 밝혀졌다. 청주 상당산성에는 진동문, 미호문, 공남문의 3개문과 동암문, 남암문의 2개 암문, 치성 3개소, 수구 3개소가 있었다. 현재의 저수지는 본래 수문이 홍수로 없어진 후 1943년에 보다 확장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성벽의 둘레는 4.2㎞로, 바깥쪽은 네모지게 다듬은 화강암으로 쌓았고 성벽 안쪽은 돌을 깨뜨려 틈을 메운 뒤 흙을 채우고 다져놓았다. 옛 성벽이 가장 잘 남아있는 서벽과 동벽의 높이는 3~4m에 이른다.
  • 청주를 수호하는 상당산성의 동장대, 보화정(輔和亭), 충청타임즈, 2020.10.4. http://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29462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청주가 교통로상·군사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청병영이 옮겨오자 상당산성은 병마우후(兵馬虞侯)가 주재(駐在)하는 군사 요충지가 되었다. 1716년(숙종 42)부터 4년간에 걸쳐 성벽을 석축으로 개수하였으며, 남문 등의 성문과 성벽에 당시 공사 관계자들의 이름과 관직명 등이 새겨져 있다. / 보화정(輔和亭)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 충북참여연대 ‘상당산성 동장대, 전면 해체 후 정밀복원하라’, 뉴시스, 2021.6.16.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16_0001478725 -> 지난 1992년 복원한 동장대는 별도의 발굴조사 기록이 없어 무엇을 근거로 했는지, 장대 건축양식은 맞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복원 29년 밖에 되지 않은 목조건물이 붕괴 위험에 처한 원인을 규명한 뒤 정밀 발굴조사와 연구를 거쳐 장대 본연의 모습을 건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2014년 복원된 상당산성 서장대(제승당)는 1995년 발굴조사 후 잔존 유구를 토대로 원상에 가까운 규모와 모습으로 지어졌다"며 "동장대는 그 위치를 확인하는 정도의 수준에서 복원된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 청주 상당산성-운주헌지 발굴조사 보고서,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http://excavation.co.kr/bookList/view?idx=6920 -> 통일신라 건물지 3동, 조선시대 건물지 6동과 담장, 축대 등이 확인되었다.
  • 상당산성, 『중원의 산성』, 문화재청, 2008, 206-219쪽.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21527&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주석

  1. 『2022년도 청주시 지정문화재 안내판 문안정비 연구』,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22, 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