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기시대 집자리(여수 화장동 유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철기시대 집자리
Goto.png 종합안내판: 여수 화장동 유적



해설문

국문

여수 화장동 유적은 국가 산업 단지 개발로 인해 1995년 순천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후 순천대학교 박물관, 목포대학교 박물관,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이 1996년과 2000년, 두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철기 시대 집자리는 85기가 발견되었다. 집자리의 평면 형태는 원형계(원형, 타원형, 장타원형) 51기, 방형계(방형, 장방형, 말각방형) 30기, 부정형 4기로 분류되어, 비교적 원형계의 집자리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인근 보성강 유역의 철기 시대 집자리는 대체로 방형의 평면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내륙과 해안 지역의 차이가 드러난다.

이 집자리에서는 민무늬 토기, 적갈색의 두드린무늬 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 출처: 성균관대학교박물관(2006). 『여수 화장동유적 발굴조사보고서』.

영문

Iron Age Dwelling Sites (Archaeological Site in Hwajang-dong, Yeosu)

The archaeological site provides insight into everyday life from the Bronze Age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The area was surveyed in 1995 and excavated in 1996 and 2000.

The remains of 85 Iron Age dwellings were identified. Among them, 51 are circular (round, oval, and long elliptical), 30 are rectangular (square, rectangular, and rounded rectangle), and four have an indeterminate form. The dwellings are mostly circular, compared to the largely rectangular Iron Age dwellings discovered along the Boseonggang River Basin in Boseong, Jeollanam-do Province. This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inland and coastal dwelling site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earthenware with no design and reddish-brown pottery with paddle imprint design.

영문 해설 내용

화장동 유적은 청동기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지이다. 1995년 지표조사를 실시한 후, 1996년과 2000년 두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하였다.

철기시대 집자리는 85기가 발견되었다. 집자리의 평면 형태는 원형계(원형, 타원형, 장타원형) 51기, 방형계(방형, 장방형, 말각방형) 30기, 부정형 4기로, 비교적 원형계의 집자리가 많다. 전남 보성에서 발견된 보성강 유역의 철기시대 집자리는 대체로 방형의 평면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볼 때, 내륙과 해안 지역 집자리 유적의 차이가 드러난다.

이 집자리에서는 민무늬 토기, 적갈색의 두드린무늬 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