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Stone Seated Bodhisattva in Gwandeok-ri, Uiseong |
|
대표명칭 |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
---|---|
영문명칭 | Stone Seated Bodhisattva in Gwandeok-ri, Uiseong |
한자 | 義城 觀德洞 石造菩薩坐像 |
주소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산85번지 |
지정(등록)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36호 |
지정(등록)일 | 1979년 1월 25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
시대 | 통일신라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보살은 부처를 도와 중생을 구제하고 불도의 깨달음을 얻은 자로서,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등 수많은 보살들이 있다.
관덕동 석조 보살 좌상은 닳아서 없어진 부분이 많아서 보살의 이름은 알 수 없다. 가슴 앞에 있는 목걸이와 유(U)자형 장식, 팔찌를 통해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보살상의 머리카락은 작은 소라 모양을 붙여 놓은 듯한 나발(螺髮)이고, 정수리에는 작지만 육계(肉髻)*가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한때 부서져 넘어졌던 머리를 다시 붙여 두었으나,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가슴 한가운데는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가 길게 드리워져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짧게 만든 장신구들이 여러 개 있다. 얼굴이 많이 깨져 전체적인 인상을 확인하기 어려우나, 이마는 좁고 얼굴형은 갸름하다.
전체적으로 결가부좌***한 신체에 나타난 안정감, 얇은 옷 속으로 비치는 부드러운 굴곡, 갸름한 얼굴 등에서 8세기 통일 신라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많이 닳아서 없어졌지만 가슴 가운데 영락(瓔珞)이라고 하는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식 등 섬세한 조각 솜씨가 뛰어난 작품으로, 신라 시대 불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 육계: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 인간이나 천상에서 볼 수 없는 일이므로 이렇게 이른다.
- 결가부좌: 앉는 법의 한가지로 오른쪽 발을 우선 왼쪽 허벅지 위에 얹고 다음에 왼쪽발을 오른쪽 위에 얹어 앉고 발을 좌우의 허벅지의 위에 얹어 앉는 법을 말한다.
영문
Stone Seated Bodhisattva in Gwandeok-ri, Uiseong
This statu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around the 8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According to a local story, this area was once occupied by a Buddhist temple. After the temple was abandoned, this statue was left outside for a long time until a pavilion was built to house it.
Because the statue is severely eroded,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who it portrays. However, the jewelry depicted on his chest and left arm suggests that it is a statue of a bodhisattva.
The head of the statue fell off and was reattached. The eyes and the nose are severely damaged so that the facial features cannot be reconstructed. The three creases encircling the neck represent the “three destinies” of afflictions, actions, and suffering.
영문 해설 내용
이 상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일대에 사찰이 있었다고 한다. 사찰이 폐사된 후 이 상은 오랫동안 야외에 방치되었다가, 현재는 보호각 내애 모셔져 있다.
전체적으로 마모된 부분이 많아서 이 상이 어떤 대상을 나타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가슴과 왼쪽 팔목에 구슬을 꿰어 만든 화려한 장신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보살상으로 추정된다.
머리는 부러졌던 것을 다시 붙여두었다. 눈은 패여 있고 코도 파손되는 등 훼손이 심해서 전체적인 인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목에 새겨진 삼도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