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서봉사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봉사지
Seobongsa Temple Site
대표명칭 서봉사지
영문명칭 Seobongsa Temple Site
한자 瑞鳳寺址



해설문

국문

서봉사는 광교산 중턱에 있었던 사찰이다.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고려 명종15년(1185)에 세워진 서봉사지현오국사탑비(보물)가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창건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태종 7년(1407)에 나라의 복을 기원하는 자복사로 지정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 근왕군이 한양을 탈환하려고 주둔하였다가 왜군과 전투를 펼쳤다. 1637년 병자호란 때에는 김준룡 장군이 청나라 군대와 싸워 승전하였다. 그 과정에서 절의 일부가 화재로 불에 타기도 하였지만 이후 재건되어 조선 후기까지도 유지되었다.

서봉사가 언제 폐사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일제강점기에 현오국사탑비가 폐사된 절터에서 발견되어 이곳에 세워졌다. 2009년 실시한 지표조사에서 동원, 중원, 서원 등 3개의 각각 다른 건물군으로 구분된 사찰임이 확인되었다.

용인시에서는 먼저 중원 일대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그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중원은 계단식으로 6단의 대지를 조성하여 건물을 축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위로부터 1단에서 3단까지는 조선시대 건물지가 출토되었다. 조선시대 건물지 하부에는 고려시대 건물지 흔적도 일부 확인되었다. 그 아래 4단에서 6단까지는 고려시대 건물지가 출토되었다. 이곳 고려시대 건물지는 수해로 대부분 사라지고 이후 조선시대에 1단과 3단 지역을 중심으로 재건되었던 것도 밝혀졌다. 발굴 조사 과정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서봉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도 출토되었다. 그중에 무기들도 있어서 호국사찰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인시는 서봉사지를 정비하여 유적을 보존하고 시민에게 공개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서봉사지는 그 자체로 소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하지만 국난 극복의 정신이 깃든 곳이기도 하다.

영문

Seobongsa Temple Site

This archaeological site located on the slope of Gwanggyosan Mountain is the former location of Seobongsa Temple. While the year of the temple’s foundation is unknown, it is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before 1185 when the stele of State Preceptor Hyeono was erected here.

In 1407,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temple was designated as a temple to pray for the good of the country. Due to the steep terrain of Gwanggyosan Mountain, the temple served an important military rol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Manchu invasion of 1637. One story says that the temple was of such great a scale that the Japanese troops were able to find, and unfortunately destroy, the temple after noticing from as far as 4 km downstream the traces of cloudy water produced from rinsing rice.

It is unknown exactly when Seobongsa Temple ceased to exist, but it is presumed that it remained in operation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ele of State Preceptor Hyeono was discovered at the si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n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site, conducted in 2009, confirmed that the temple’s buildings were arranged into three areas: central, eastern, and western.

Excavations to establish the layout of the temple’s central area were conducted in 2013-2017. They revealed that a six-tier terrace was constructed to create level construction surfaces. On the three front tiers, the sites of Joseon-period buildings were found atop the partial remains of Goryeo-period buildings, while on the three rear tiers, the sites of only Goryeo-period buildings were found. It is presumed that most of the Goryeo-period buildings were destroyed by water damage and replaced with new buildings in the Joseon period, but only on the front three tiers. Various artifacts from both periods were also unearthed during the excavations, including weapons, which confirmed that the temple also served a military function.

영문 해설 내용

광교산 중턱에 위치한 이곳은 서봉사라는 사찰이 있던 곳이다. 서봉사의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고, 1185년에 세워진 현오국사탑비가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인 1407년 서봉사는 나라의 복을 기원하는 사찰로 지정되었다. 광교산은 산세가 험준하였기 때문에, 서봉사는 1592년 임진왜란과 1637년 병자호란 때 중요한 거점이 되기도 하였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절에서 나온 쌀뜨물이 개울을 따라 10리나 흘러 내려가 왜군이 물을 따라 올라가서 절을 불태웠다고 한다.

서봉사가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고, 조선 후기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현오국사탑비가 폐사된 절터에서 발견되었고, 2009년 실시한 지표조사에서 동원, 중원, 서원 등 3개의 각각 다른 건물군으로 구분된 사찰임이 확인되었다.

중원 일대를 정비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중원은 계단식으로 6단의 대지를 조성하여 건물을 축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위로부터 1단에서 3단까지는 조선시대 건물지가 확인되었고, 조선시대 건물지 하부에서는 고려시대 건물지 흔적도 일부 확인되었다. 4단에서 6단까지는 고려시대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고려시대 건물지는 수해로 대부분 사라지고 이후 조선시대에 1단과 3단 지역을 중심으로 재건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 과정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다양한 유물도 출토되었으며, 무기들도 포함되어 있어 호국사찰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갤러리

주석

  1. 봉인됐던 용인 서봉사지…비밀의 문에 다가서다”, 용인시민신문, 202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