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서악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예천 서악사
Seoaksa Temple, Yecheon
대표명칭 예천 서악사
영문명칭 Seoaksa Temple, Yecheon
한자 醴泉 西岳寺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대심1길 160



해설문

국문

서악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로 예천읍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봉덕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1960년에 발견된 상량문에 따르면, 조선 숙종 27년(1701)에 창건하였고 영조 13년(1737)에 옮겨지었음을 알 수 있다.

1841년과 1895년에 편찬된 ≪예천군지≫에 기록된 ‘서암(西庵)은 군에서 서쪽 8리에 있다’라는 내용으로 보아 한때 ‘서악사’가 ‘서암’이라 불렸음을 짐작할 수 있다.

법당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대웅전 안에는 탱화 4점과 동종 1점이 있다. 불단 왼쪽 벽면에 있는 「서악사 석가모니후불탱」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이며, 나머지 탱화 3점도 보존가치가 있는 유물로 평가된다. 불단 위에 있는 동종도 비록 제작연도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조선시대 범종 양식을 충실히 따른 귀중한 유물이다.

영문

Seoaksa Temple, Yecheon

Seoaksa Temple, located at the base of Bongdeoksan Mountain, is a Buddhist temple belonging to Diocese No. 8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t was established in 1701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It was originally located elsewhere and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737.

According to the County Records of Yecheon (Yecheon gunji) compiled in 1841 and 1895, the temple was known as Seoam, meaning “West Hermitage,” rather than Seoaksa, meaning “Temple of the Western Mountain.”

The main worship hall of Seoaksa Temple is Daeungjeon Hall, where Sakyamuni, the historical Buddha who lived in ancient India, is venerated. Inside Daeungjeon Hall is a Buddhist triad consisting of Sakyamuni and two bodhisattvas, four hanging paintings, and one bronze bell. Among these, the hanging scroll to the left of the main altar was designated as a Gyeongsa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6. The bronze bell atop the altar was made in 1933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but follows the style of Joseon-period bells, making it a valuable artifact. .

영문 해설 내용

봉덕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서악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소속의 사찰이다. 조선시대인 1701년에 창건되었고,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을 1737년에 지금 위치로 옮겨 지었다.

1841년과 1895년에 편찬된 ≪예천군지≫에 따르면, ‘서쪽 산에 있는 사찰’이라는 뜻의 ‘서악사’가 아닌 ‘서쪽 암자’라는 뜻의 ‘서암’으로 알려져 있었다.

서악사의 법당은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이다. 대웅전 안에는 석가모니불과 협시보살로 이루어진 삼존상, 탱화 4점, 동종 1점이 있다. 그중 불단 왼쪽 벽면에 있는 석가모니후불탱은 2006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불단 위에 있는 동종은 1933년에 제작된 것으로, 조선시대 범종 양식을 충실히 따른 귀중한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