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
Okcheonjaesa Ritual House of the Andong Gwon Clan, Yeongdeok
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
영문명칭 Okcheonjaesa Ritual House of the Andong Gwon Clan, Yeongdeok
한자 盈德 安東權氏 玉川齋舍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6-1번지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60호
지정일 2009년 4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8필지/ 지정구역 2,459㎡, 보호구역 5,826㎡
웹사이트 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옥천재사는 권자신(權自愼)의 오촌 조카인 권책(權策)의 후손 권희언(權希彦)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지내려고 후손들이 지은 건물이다. 뒤쪽에 자리한 낮은 언덕에는 권희언(權希彦)의 묘가 있다.

옥천재사와 더불어 2층 누각으로 된 화수루, 왼쪽 언덕에는 청간정, 오른쪽에 초가로 지은 까치구멍집이 있다. 재사를 중심으로 정자와 누각, 살림집이 함께 있으면서 재실 기능을 보조하는 독특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영문

Okcheonjaesa Ritual House of the Andong Gwon Clan, Yeongdeok

This ritual house was built for the preparation of ancestral rituals and the maintenance of the tomb of Gwon Hui-eon (1500-1549), which is located on the hill behind the ritual house. Gwon Hui-eon is the great-grandson of Gwon Chaek (1444-?), the first person of the Andong Gwon clan to settle in the Yeongdeok area.

The ritual house has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center. The front of the building consists of a gate pavilion called Hwasuru which features a wooden-floored hall where the ancestral rituals are performed and two underfloor-heated rooms. The rear of the building consists of underfloor-heated rooms and wooden-floored halls that were used by the ritual officiants, as well as spaces for storing the utensils and offerings needed for the ancestral rituals.

The house to the right of the ritual house and the pavilion about 70 m to the left of the ritual house ar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of the site as National Folklore Heritage No. 260.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권희언(1500-1549)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은 재사이다. 재사 뒤쪽의 언덕에 권희언의 묘가 있다. 권희언은 안동권씨의 영덕 입향조 권책(1444-?)의 증손자이다.

재사는 가운데에 마당을 둔 ㅁ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앞쪽의 화수루라는 누각은 대문의 역할을 겸하며, 제사를 지내는 대청과 2개의 온돌방으로 이루어졌다. 뒤쪽에는 제관들이 사용하는 방과 마루, 재사에 필요한 용품 및 제물들을 보관하는 공간들이 있다.

재사 오른쪽에 있는 까치구멍집과 재사에서 왼쪽으로 약 7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정자 청간정이 함께 지정되었다.

갤러리

참고자료

주석

  1. 중요민속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5, 78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