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통도사 국장생석표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Stone Boundary Marker of Tongdosa Temple, Yangsan
양산 통도사 국장생석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영문명칭 Stone Boundary Marker of Tongdosa Temple, Yangsan
한자 梁山 通度寺 國長生 石標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718-44번지
지정번호 보물 제74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일반조각/능묘조각/기타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양산 통도사 국장생석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장생표는 고려 시대에 절 소유의 논밭에 세웠던 경계선 표지를 말한다.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는 통도사를 중심으로 열두 곳에 세워 놓은 장생표 중 하나로, 절에서 동남쪽으로 약 4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국장생’은 나라의 명을 받아 세워진 장생임을 뜻한다.

통도사의 기록에 따르면 사방 산천의 기를 보충하기 위해 사방 열두 곳에 장생을 세웠다고 한다. 국장생 석표는 절의 경계를 표시하는 동시에 땅의 기운을 보충하여 절에 들어오는 액을 막기 위해 세웠던 것으로, 고려 시대의 풍수 사상을 잘 보여 준다.

현재 남아 있는 국장생 석표는 고려 선종 2년(1085)에 세워진 것이지만, “다시 세웠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원래 이보다 앞선 시기에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6~9cm 크기의 글자가 네 줄로 새겨져 있으며, 이두문으로 쓰인 “나라의 통첩을 받아 세웠다.”라는 내용에서 당시 국가와 사찰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사료이기 때문에 1963년 1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영문

Stone Boundary Marker of Tongdosa Temple, Yangsan

This stone post was erected in 1085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to mark the boundary of the land owned by Tongdosa Temple. At the time, the Buddhist temple had a total of 12 boundary markers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its property and at its entrance, only two of which remain. This marker is located about 4 km to the southeast of the temple, while the other one is located about 5 km to the northeast of the temple in Sangcheon-ri Village, Ulsan.

This boundary marker bears an inscription on its front side that is engraved in four vertical line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this marker was reinstalled in 1085 upon the order of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uggests that an earlier boundary marker had already stood here prior to the installation of this one. Having been installed upon government order, this boundary marker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Buddhist temples at the time.

This boundary marker also reflects popular Goryeo-period folk beliefs related to feng shui principles. This can be seen in the historical records held at Tongdosa Temple, which state that these markers were installed along its boundaries in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and also served as guardian posts that helped protect the temple from calamities.

영문 해설 내용

이 돌기둥은 통도사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원래는 통도사를 중심으로 12개의 석표가 세워졌는데 지금은 2개만 남아 있다. 이곳에 있는 석표는 통도사의 동남쪽 약 4㎞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북동쪽으로 약 5 km 떨어진 울산 상천리에 있다.

석표의 정면에는 4줄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에 따르면 이 석표는 고려시대인 1085년 중앙관청의 통첩에 따라 고쳐 세운 것이다. 따라서 이 석표를 세우기 이전에도 이미 이곳에 석표가 세워져 있던 것으로 보이며, 국가의 명령에 따라 석표를 세웠다는 점에서 당시 국가와 사찰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이 석표들은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풍수 사상을 보여주는 자료이기도 하다. 통도사에 남아 있는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를 중심으로 사방에 이러한 석표들을 세워 놓았는데, 이 석표들은 절에 액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역할도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