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Geumgyejaesa Ritual House of the Pungsan Ryu Clan, Andong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영문명칭 Geumgyejaesa Ritual House of the Pungsan Ryu Clan, Andong
한자 安東 豊山柳氏 金溪齋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권태사길 116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88호
지정일 2016년 7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
수량/면적 건물 6동(290.87㎡), 토지 1,729㎡
웹사이트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2017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 류중영(柳仲郢)의 묘제(墓祭)를 위한 재사이다. 그는 겸암(謙庵) 류운용(柳雲龍)과 서애(西崖) 류성룡(柳成龍)의 부(父)로 조선 중종(中宗) 때 문신으로 경연관(経筵官)이 되어 활약하였다. 본채는 숭실재․영모루와 부속건물이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영모루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의 다락집이다. 누의 아래에는 벽체를 설치하여 수납공간을 마련하였다. 숭실재는 영모루 높이만큼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건물을 세웠다. 봉정사(鳳停寺)의 건물들과 그 분위기가 비슷하며 정면 6칸 중 4칸은 원래의 구조이고 왼쪽의 2칸은 나중에 달아낸 것이다.

숭실재는 원래 능효사(陵孝寺)의 한 전각이었는데, 풍산류씨 문중에서 인수하여 1558년 중수하고, 1622년 보수하여 재사로 사용하고 있다.

2022

금계재사는 조선 시대의 문신 류중영(柳仲郢)의 묘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m 떨어진 언덕에 류중영의 묘소가 있다. 류중영은 학문과 어진 정치로 칭송을 받았던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혼란스러운 정국을 잘 이끌었던 명재상 류성룡 형제의 아버지이다.

재사는 앞에서부터 영모루와 소루, 대문간채, 동재, 숭실재와 동부속채가 ‘口’ 자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재사의 중심 건물인 숭실재는 제관들이 머물며 제수를 준비하고 음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원래 능효사라는 사찰에 속한 건물이었으나, 풍산 류씨 문중에서 인수하여 재사로 사용하다가 1558년에 고쳐 지었다. 1706년 영모루를 짓는 등 18세기 초부터 다른 건물들을 짓기 시작하면서, 금계재사는 전면에 2개의 누를 둔, 큰 규모를 이루게 되었다. 벽체 구성, 창호의 형태, 공포** 양식 등 17세기 이전 건축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

풍산 류씨 문중은 조상의 제사를 담당하는 족회소(族會所)를 조직하였으며,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올리는 과정을 문서로 남겨 후손들에게 전승할 수 있게 하였다. 영모루에 걸려 있는 ‘족중입의(族中立議)’는 류운룡이 작성한 것으로, 제사를 모시는 후손들의 책임과 의무를 정리한 7개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음복: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음
  • 공포: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영문

  • Geumgyejaesa Ritual House of the Pungsan Ryu Clan, Andong

2017

This is a ritual house for the preparation of ceremonial rituals and maintenance of the tomb of Ryu Jung-yeong (1515-1573), a civil official and royal lecturer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r. 1506-1544)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the father of Ryu Un-ryong (1539-1601) and Ryu Seong-ryong (1542-1607), renowned scholars and civil officials of the Joseon period.

The scale of this ritual house complex is unusually large, consisting of a main hall named Sungsiljae, two pavilions, one of which is named Yeongmoru, and three ancillary buildings. Yeongmoru, a two-story pavilion standing at the front of the complex, features walls on the lower level to accommodate greater storage, which is uncommon for pavilions. Sungsiljae Hall, built on an elevated platform, was originally located in a Buddhist temple called Neunghyosa. It was relocated by the Pungsan Ryu Clan to be repurposed as a ritual house. It was reconstructed in 1558 and underwent repairs in 1622.

2022

Geumgyejaesa Ritual House was built for the preparation of veneration rituals and the maintenance of the tomb of the civil official Ryu Jung-yeong (1515-1573). Ryu’s tomb is located on a hill about 450 m to the southeast of the ritual house.

Ryu Jung-yeong was the father of two renowned scholars and politicians, namely Ryu Un-ryong (1539-1601), who was known as an honest politician of great integrity, and Ryu Seong-ryong (1542-1607), who, as chief state councilor, successfully led the country through the turmoil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The ritual house has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It consists of Yeongmoru and Soru Pavilions, a gate quarters, an eastern quarters, an auxiliary quarters, and a main quarters named Sungsiljae. The main quarters is the oldest building in the ritual house. It originally belonged to a Buddhist temple named Neunghyosa but was acquired by the Ryu Clan and later renovated in 1588. This main quarters is where ritual officiants stay, where ritual offerings of food and drink are prepared, and where offerings are consumed after the ritual. The ritual house complex grew to its current scale though a series of expansions beginning in 1706, yet its buildings display many pre-18th-century architectural features, as seen in the composition of the walls, the shape of the windows, and the style of the roof-supporting brackets.

The Pungsan Ryu Clan formed a family organ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ancestors’ tombs and documented the ancestral ritual procedures so that they could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Displayed in Yeongmoru Pavilion is one such document composed by Ryu Un-ryong that describes in seven articles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the descendants conducting the rituals.

영문 해설 내용

2022

금계재사는 조선시대의 문신 류중영(1515-1573)의 묘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m 떨어진 언덕에 류중영의 묘소가 있다.

류중영은 학문과 어진 정치로 칭송받았던 류운룡(1539-1601)과 임진왜란 당시 혼란스러운 정국을 잘 이끌었던 명재상 류성룡(1542-1607) 형제의 아버지이다.

재사는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영모루와 소루, 대문간채, 동재, 부속채와 중심 건물인 숭실재로 구성되어 있다. 숭실재는 이 재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원래 능효사라는 사찰에 속한 건물이었는데 풍산류씨 문중에서 인수하여 1558년에 고쳐지었다. 숭실재는 제관들이 머물며 제수를 준비하고, 제사가 끝난 후에는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 공간이다. 1706년부터 다른 건물들을 짓기 시작하였고, 벽체 구성, 창호의 형태, 공포 양식 등 17세기 이전 건축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풍산류씨 문중은 문중 공동체를 조직하여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올리는 과정을 문서로 남겨 후손들에게 전승할 수 있게 하였다. 영모루에는 제사를 모시는 후손들의 책임과 의무를 7개 조항으로 정리한 문서가 걸려 있는데 이는 류운룡이 작성한 것이다.

갤러리

참고자료

  •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3702880000
  • 2016년 제3차 민속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문화재청.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30561&bbsId=BBSMSTR_1019&mn=NS_03_03_04 ->사찰건물이 재실로 사용된 것은 1558년 이전으로 임진왜란 이전의 모습이 남아 있다. 따라서 많지 않은 임진왜란 이전건물이라고 하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영모루는 임진왜란 이후인 1706년에 신축된 것이지만 부재의 쓰임, 가공의 기법, 령쌍창의 사용 등 당시의 기법이 잘 살아있어서 건축기술사적인 가치가 있다. / 풍산류씨는 선대의 묘제만이 아닌 평창군 권옹(權雍)과 권옹의 장인 배소(裵素)까지 외손봉사와 외외손봉사로 시제를 올리고 있음. 또한 서애 류성룡의 장인 역시 외손봉사로 그의 후손들이 해마다 시제를 올리고 있어 안동 지역의 특색있는 풍습과 민속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 / 숭실재의 창건연대는 확인이 어려우나 과거 재실 이전에 사찰관련 건물이었던 것을 풍산류씨 문중에서 인수하여 재사로 사용하였다 나타나고 있음. 숭실재는 초기에 주사와 강당의 기능을 겸하여 사용하였고, 문중의 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강당의 기능을 위하여 영모루를 지은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사례는 재실의 초기적 성격과 독창적인 배치형태를 보여주고 있음 / 숭실재는 재사 이전에 사찰 관련 건물이었던 만큼 금계재사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를 가지고 있으며, 고식의 건축기법인 후퇴가 있는 평면양식과 창 얼굴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음. 또한 안동문화권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1출목 이익공의 공포와 난간의 형태는 건축적 가치가 높은 건물이라 할 수 있음.
  • 안동 숭실재,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837 -> 천등산(天燈山)의 봉정사(鳳停寺)로 가는 길목인 능동 골짜기 초입은 마을이며, 그 안쪽에 권태사 신도비가 있고, 그 위쪽에 안동권씨 능동재사(安東權氏陵洞齋舍)가 있으며 가장 위쪽에 안동 숭실재가 자리하고 있다. 재사가 남동쪽으로 방향을 둔 것은 류중영의 묘소가 있는 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안동 숭실재는 원래 능효사의 한 전각이었는데 풍산류씨 문중에서 재사로 인수하여 1558년에 중수하고, 1622년에 보수하였다. 절집을 개수한 점에서 안동 숭실재는 남흥재사(南興齋舍)와 성격이 같다. 원래의 건물에 달아매는 방식으로 증축을 하였다. 전면 누다락은 두 채를 서로 잇는 방식으로 증축되었다. 후면의 재사 건물은 부엌을 사이에 두고 동편은 원래의 건물이고, 서편은 새로 달아맨 건물이다.
  • 중요민속문화재 지정(제288호) -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http://www.k-heritage.tv/brd/board/378/L/CATEGORY/659/menu/1459?brdType=R&bbIdx=12329
  • 숭실재사 이야기(글/윤천근 - 안동대 교수), 사랑방 안동. http://www.andongji.com/andong/viewandong/content.asp?Jour_Num=825&cat1_id=60&cat2_id=949

주석

  1.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37028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