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삼벽당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삼벽당
Sambyeokdang House, Andong
안동 삼벽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삼벽당
영문명칭 Sambyeokdang House, Andong
한자 安東 三碧堂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미동길 53-10 (풍산읍, 삼벽당)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49호
지정일 2012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안동 삼벽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집은 풍산 김씨 21대손 김상구(金相龜)가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18세기 중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삼벽당’이라는 이름은 김상구의 아들 김종한(金宗漢)의 호를 딴 것이다.

삼벽당은 ‘口’ 자형의 기본 구조에 양쪽 날개가 1칸씩 달린 형태이며, 대문채나 사당 등의 건물은 따로 두지 않았다. 사랑마루*의 벽에 감실**을 설치하여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다락을 두어 수납 공간을 확보하는 등 조선 후기 안동 지방 민가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 사랑마루: 사랑방 앞에 놓은 마루
  • 감실: 신주를 모셔 두는 장

영문

Sambyeokdang House, Andong

Sambyeokdang House was built by Kim Sang-gu (1743-1814) when he moved out of his family house, presumably in the mid-18th century. The house is named after the pen name of Kim Sang-gu’s son, Kim Jong-han (1770-1814, pen name: Sambyeok).

The house has a square layout with wings on either side. It does not feaure any other buildings, such as a gate quarters or a shrine. In the wooden veranda in the men’s quarters, there is a niche shrine with the spirit tablets of the family’s ancestors. An attic was also installed to increase storage space. These practical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architecture in the Andong area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영문 해설 내용

삼벽당은 풍산김씨 가문의 김상구(1743-1814)가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18세기 중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집의 이름은 김상구의 아들 김종한(1770-1814)의 호를 딴 것이다.

이 집은 기본적으로 ‘ㅁ’자형이고 양옆에 날개채가 달려 있다. 대문채나 사당 등의 건물은 따로 두지 않았다. 사랑방 앞 마루에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기 위한 감실을 두었으며, 다락을 두어 수납 공간을 확보하는 등 조선 후기 안동 지방 민가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참고자료

  • 삼벽당,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813 -> 삼벽당은 소유자의 7대조인 김상구(金相龜, 1743~1814)가 분가할 때 건립한 가옥이다. 당호는 김상구의 아들로 동몽교관(童蒙敎官)과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김종한(金鐘漢)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 대지의 오른쪽 모서리 쪽에 나 있는 트임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오른쪽에 측간이 놓여 있고, 북쪽으로 넓게 펼쳐진 바깥마당 너머에는 정면 양측에 각 1칸씩의 날개를 단 완전 ‘ㅁ’자형 몸채가 자리 잡고 있다. 몸채 정면의 중앙 칸에는 중문간을 두었고, 오른쪽으로는 사랑 공간이 자리하고 있으며, 왼쪽으로는 마구간과 책방 등의 부속 공간이 위치하고 있다. 사랑 공간에는 2칸의 사랑방과 1칸의 사랑마루가 차례로 놓여 있고, 사랑방 오른쪽 칸 뒤쪽에 온돌방 1칸이 우익사와 연접해 있다. 사랑 공간의 정면과 배면에 툇마루와 쪽마루를 시설하여 동선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마구간 왼쪽의 책방 2칸에도 툇마루가 들여져 있다. 중문간을 들어서면 3칸의 넓은 안대청이 안마당 폭을 가득 메우고 있다. 안대청 왼쪽에는 1칸 반의 안방과 부엌이 책방과 이어져 좌익사를, 오른쪽에는 1칸 건넌방과 통래간이 사랑 공간과 연접하여 우익사를 구성하고 있다. 건물의 구조 양식은 자연석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민도리 형식이다. 정침은 5량가로, 익사와 사랑 부분은 3량가로 가구했는데, 대량과 도리는 보기 드문 고식의 상투걸이 수법으로 결구하였다. 삼벽당은 완전‘ㅁ’자형에 양 날개를 1칸씩 더 확장한 평면 형식을 갖추고 상투걸이라는 독특한 수법을 사용하여, 조선 후기 안동 지방 민가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특히 사랑마루의 위쪽과 신주를 모시기 위해 벽에 설치한 감실(龕室)이나 수장 공간이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풍산김씨 대종회 http://www.poongsankim.com/htmls/pungkim03-3.htm -> 족보 확인
  • [전통건축답사] 안동 풍산읍 삼벽당, 오미광복운동기념탑, 집을 그리는 사람의 건축답사기, 네이버 블로그, 2011.03.16. https://blog.naver.com/laquint/11010488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