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송곡서원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송곡서원
S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송곡서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송곡서원
영문명칭 S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한자 松谷書院
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무학로 1353-9 (애정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송곡서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서산 송곡서원은 서산 지역에서 최초로 건립된 서원이다. 1694년(숙종 20) 서산 유씨 유방택을 제향하던 인정사(仁政祠)라는 이름의 사당을 처음 세우지만 중간에 폐지되고, 1753년(영조 29) 서산 정씨 정신보, 정인경을 제향하는 송곡향현사(松谷鄕賢祠)로 재건하였다. 1871년(고종 8) 서원 철폐령으로 폐지되었으나 1910년 유양목 등의 유림이 복원하였고 이후 몇 차례 더 고쳤다.

송곡서원은 앞쪽에 강학 공간인 강당과 동·서재, 뒤쪽에 제향 공간인 사당으로 이루어졌다. 보통 서원의 강학 공간은 강당의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배치되는데 이곳은 강당, 동재와 서재는 물론 외삼문까지 ‘ㄷ’자형의 한 건물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내삼문으로 구획된 담장 안에 자리하고 있는 사당에는 서산 유씨 유방택, 유백유, 유백순, 유윤과 서산 정씨 정신보, 정인경, 경주 김씨 김적, 광산 김씨 김위재, 남원 윤씨 윤황 등 9인의 위패를 모셨다. 배향 인물은 윤황을 제외하면 모두 서산 출신이거나 서산에 살았던 명현*이다.

송곡서원에는 제향 인물의 행장**을 기록한 행장록이 전하는데 서원 건립 활동과 연혁을 알 수 있는 축문과 통문류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송곡서원이 서산 지역의 토성인 서산 유씨와 서산 정씨가 주도한 향현사***로서 시작했으나 서산 지역 향촌사회의 변동에 따라 새로운 성씨가 추가 배향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 명현(名賢): 이름난 어진 사람
  • 행장(行狀): 죽은 사람이 평생 살아온 일을 적은 글
  • 향현사: 지방의 이름난 선비들을 제사 지내는 사당

영문

S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Seosan

A Confucian academy, called seowon in Korean, is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S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boasts the longest history among the Confucian academies established in the Seosan area. This history can be traced to the construction of Injeongsa Shrine in 1694, which was dedicated to Yu Bang-taek (1320-1402) of the Seosan Yu clan. The shrine was built anew in 1753 under the name Hyanghyeonsa to venerate Jeong Sin-bo and his son Jeong In-gyeong (1237-1305) of the Seosan Jeong clan. The shrine was demolished in 1871 when most shrines and Confucian academies were shut down by a nationwide decree. It was reconstructed in 1910 by the local Confucian community and has since undergone several repairs. A total of nine individuals are currently venerated at the shrine.*

From front to back, the complex consists of a lecture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Although the lecture areas of most Confucian academies consist of a main gate, a lecture hall, and two dormitories that are all separate buildings, this academy combines these spaces into one building with two wings.

The academy holds several written veneration invocations and circulated letters, which record the academy’s history as well a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those venerated here. Notably, these materials show how the shrine, which was initially dedicated to scholars who belonged to clans founded in Seosan, namely the Yu and Jeong clans, later came to additionally venerate individuals who settled here from other regions, which reflects the demographic changes over time.

  • Yu Bang-taek, Yu Baek-yu, Yu Baek-sun, and Yu Yun of the Seosan Yu clan, Jeong Sin-bo and Jeong In-gyeong of the Seosan Jeong clan, Kim Jeok of the Gyeongju Kim clan, Kim Wi-jae of the Gwangsan Kim clan, and Yun Hwang of the Namwon Yun clan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송곡서원은 서산 지역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서원이다. 1694년 서산유씨 가문의 유방택(1320-1402)을 기리는 인정사라는 사당으로 처음 건립되었다가, 1753년 서산정씨 가문의 정신보와 아들 정인경(1237-1305)을 기리는 향현사로 다시 지어졌다. 1871년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1910년 지역 유림이 복원하였고 이후 몇 차례 더 고쳐지었다. 현재는 명현 9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서원은 앞에서부터 강당, 내삼문,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서원의 강학공간은 정문, 강당,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각각 독립적인 건물로 배치되는데, 송곡서원의 강당은 정문, 강당, 동재, 서재가 ‘ㄷ’자형의 한 건물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송곡서원에는 제향 인물의 행장 기록, 서원 건립 활동과 연혁을 알 수 있는 축문과 통문류가 전해진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송곡서원이 서산 지역의 토성인 서산유씨와 서산정씨가 주도한 사당에서 출발하였으나, 서산 지역 향촌사회의 변동에 따라 새로운 성씨가 추가 배향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 서산유씨(유방택, 유백유, 유백순, 유윤), 서산정씨(정신보, 정인경), 경주김씨(김적), 광산김씨(김위재), 남원윤씨(윤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