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사 수륙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삼화사 수륙재
Samhwa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삼화사 수륙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삼화사 수륙재
영문명칭 Samhwa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한자 三和寺 水陸齋
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125호
지정일 2013년 12월 31일
분류 무형문화재/의례·의식/종교의례
웹사이트 삼화사 수륙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수륙재(水陸齋)’는 이름 그대로 온 물과 육지를 헤매는 모든 외로운 영혼들의 천도를 기리는 대중을 위한 불교 의례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부터 행해졌다.

삼화사 수륙재는 기록에서 그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조선왕조실록』에 ‘왕(태조)이 고려 왕실을 위로하기 위해 관음굴(觀音堀)·견암사(見巖寺)·삼화사(三和寺)에서 매년 봄가을 성대하게 수륙재를 거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삼화사 수륙재는 1년에 2차례 열렸는데, 이는 동해지역으로 유폐되어 죽임을 당한 공양왕의 영혼을 달래고 사회적 안정을 추구하기 위함이었다.

삼화사 수륙재는 조선전기까지 국가적으로 행해졌으나, 성리학적 질서가 강화되는 조선중기 이후 위축되었다. 한편 삼화사에서 수륙재의 의례절차와 방법 등을 서술한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가 발견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2004년부터 삼화사 수륙재가 설행되고 있다. 그리고 그 예술성과 전통성을 인정받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오늘날 동해 삼화사 수륙재는 매년 10월 셋째 주에 거행되고 있으며, 신도들 뿐 아니라 지역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지역의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매김하였다.

영문

Samhwa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Suryukjae, meaning “Water and Land Ceremony,” is a Buddhist ritual for the universal salv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ceased who inhabit the painful domains in water or on land. In Korea, this ceremony has been performed since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is mentioned in various historical records. For example,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states that King Taejo (r. 1392-1398) held this ceremony each spring and autumn at Gwaneumgul Grotto in Gaeseong, at Gyeonamsa Temple in Geoje, and Samhwasa Temple in Donghae to console the spirits of the fallen Goryeo dynasty. The ceremony held at Samhwasa Temple promoted social stability and appeased the soul of Goryeo’s last king, King Gongyang (r. 1389-1392), who was exiled to the Donghae area and then killed. The ceremony was performed by the government until the early Joseon period, but gradually declined from the mid-Joseon period when Confucianism gained influence as the national ideology.

In 2000, two books recording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were found at Samhwasa Temple. Based on these ritual texts, the performance of the ceremony was resumed from 2004. In recognition of its artistic and traditional value, the ceremony wa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3. The ceremony is now held in the third week of October and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local event in which many Buddhist followers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e.

영문 해설 내용

수륙재는 ‘물과 육지의 의식’이라는 뜻으로, 고통으로 가득 찬 온 물과 육지를 헤매는 모든 영혼들의 천도를 기리기 위해 행해지는 불교 의례이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부터 행해졌다.

삼화사 수륙재는 여러 역사 기록에 남아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조(재위 1392-1398)가 고려 왕실을 위로하기 위해 개성 관음굴, 거제 견암사, 동해 삼화사에서 매년 봄가을 수륙재를 거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삼화사 수륙재는 1년에 2차례 열렸는데, 이는 동해지역으로 유폐되어 죽임을 당한 공양왕(재위 1389-1392)의 영혼을 달래고 사회적 안정을 추구하기 위함이었다. 삼화사 수륙재는 조선전기까지 국가적으로 행해졌으나, 성리학적 질서가 강화되는 조선 중기 이후 위축되었다.

2000년 수륙재의 의례절차와 방법 등을 서술한 두 권의 책이 삼화사에서 발견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2004년부터 삼화사 수륙재가 설행되고 있다. 그리고 그 예술성과 전통성을 인정받아 2013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오늘날 동해 삼화사 수륙재는 매년 10월 셋째 주에 거행되고 있으며, 신도들 뿐 아니라 지역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지역의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매김하였다.